병환·사별·증여·은퇴·집 집착… ‘노인빈곤 5대 경로’ 첫 추적
노년의 가난은 도둑같이 찾아온다. 269만명까지 늘어난 국내 노인 빈곤층 중에는 평생 가난을 달고 살았던 사람도 있지만, 평범했거나 한때는 풍족했던 사람도 많다. 예고 없이 닥친 ‘사건’을 겪으면 한순간 빈곤의 나락으로 떨어진다. 노인 빈곤을 남의 얘기라고만 생각할 수 없는 이유다.서울신문은 또 5가지 빈곤의 경로가 실제로 개인의 자산이나 소득 규모를 얼마나 감소시키는지도 각종 통계를 이용해 수치로 계량화했다. 노년 빈곤의 원인 및 변화 추이에 대한 종합적인 실증 분석은 처음이다. 분석에는 한국보건사회연구원 고령사회연구센터와 서울대 사회복지연구소, 삼성생명 은퇴연구소 등 민·관·학의 관련 분야 최고 권위기관들이 참여했다.
유정미 삼성생명 은퇴연구소 책임연구원이 한국노동패널 자료(2001~2012년)를 바탕으로 65~84세 노인들을 분석한 결과 노년 가구는 가족이 장기 요양하는 악재를 겪으면 2년 내 자산의 4분의1 이상을 잃는 것으로 분석됐다. 식구 중 한 명 이상이 2년 넘게 장기 요양을 한 경험이 있는 가구는 자산이 상황 발생 2년 내 27%나 감소(조사 대상 평균 2억 1448만원→1억 5726만원)했다.
또 남편의 사망을 경험한 가구는 자산이 2년 내 17%(1억 3083만원→1억 878만원) 줄었고 연소득은 29%(2004만원→1421만원) 감소했다. 특히 75세 이상 노인이 가구주인 경우에는 남편이 사망하면 2년 내 자산이 34%(1억 1370만원→7546만원), 연소득이 36%(1408만원→907만원) 줄어 타격이 컸다.
한번 빈곤층으로 추락한 노인들이 계층 상승의 사다리를 타기는 해마다 어려워지고 있었다. 서울대 사회복지연구소 이봉주 교수팀이 한국복지패널 자료(2005~2013년)를 분석한 결과 빈곤 노인 가구가 1년 만에 중산층 이상으로 이동한 비율은 2013년 9.8%로 2011년 15.0%, 2012년 11.7%보다 줄었다.
특별기획팀 tamsa@seoul.co.kr
유영규 팀장 whoami@seoul.co.kr
유대근 기자 dynamic@seoul.co.kr
윤수경 기자 yoon@seoul.co.kr
2015-12-17 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