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혼 재혼 트렌드 ‘동거’… 건강·경제력 뒷받침돼야 행복
황혼 이혼·재혼과 노인의 성 문제는 무관치 않다. 노인의 행복을 좌우하는 것일 수도 있다. 하지만 사회는 이 부분에 여전히 관심이 없거나 냉담하다. 노인의 성을 ‘무성’이란 말로 무시한다. 황혼 이혼과 재혼은 가족 분란을 낳기도 하고, 갇힌 성은 노인의 성범죄를 유발하는 요인이 되지만 사회 분위기는 달라지지 않고 있다. 일부 노인은 재산 등을 둘러싼 갈등이나 법적 분쟁을 피하기 위해 동거를 선택하고, 은밀하거나 일탈적인 방법으로 성적 욕구를 해결한다. 전문가들은 노인 개인의 행복을 위해 사회의 적극적인 관심과 자식들의 인식 변화가 필요하다고 입을 모은다.영화 ‘영화 죽어도좋아’의 한 장면
대전에 사는 A(84) 할아버지는 얼마 전부터 네 살 많은 할머니와 동거하고 있다. 8년 전 구청 복지관에서 만나 노래교실 등의 프로그램에 동참하면서 정이 들었다. 재혼하고 싶었지만 양가 자녀들이 극구 반대했다.
하지만 할아버지가 갑자기 심근경색 증세를 보였던 게 자녀들의 생각을 바꿔놨다. 할머니가 할아버지 집을 찾았다가 고통스러워하며 쓰러지는 할아버지를 보고 급히 119에 연락해 병원으로 옮겨 살린 것이다. 양가 자녀는 대부분 외지에서 산다. 둘은 고민 끝에 재혼이란 법적 굴레에 크게 얽매이지 않는 동거를 선택했다.
노인의 이혼과 재혼이 느는 가운데 황혼 재혼 트렌드에 변화가 생기고 있다. 동거하는 노인이 느는 것이다. 재혼하면 양가 자녀들이 한가족이 되는 게 불편하고 유산을 둘러싼 갈등이 예상되기 때문이다.
18일 찾아간 대전 서구노인복지관의 박선정 대리는 “할머니와 할아버지 10명씩 단체 미팅을 주선하면 적극적으로 참여하지만 재혼 등 사실혼으로 발전하는 경우는 많지 않다”면서도 “노인들도 젊은이처럼 남녀 관계를 가볍게 가려 하고, 법적인 재혼보다 홀가분한 동거를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고 전했다.
그렇다고 아무 조건 없이 동거에 들어가는 노인은 많지 않다. 서울에 사는 70대 할아버지 B씨는 최근 문화센터에서 만난 동갑내기 여자 친구와 ‘계약 동거’를 하기로 약속했다. 재혼까지 생각했지만 멀리 사는 자식들이 알면 반대할 게 분명해서다. B씨는 “나중에 유산 문제로 양쪽 자식들이 싸울 것이 걱정돼 동거를 선택했다”고 말했다. 동거에도 약간의 문제는 있을 것 같아 둘은 동거 계약서를 썼다. 계약서에는 ‘동거 중 한 사람이 먼저 죽거나 헤어지면 본래 재산은 그대로 나누고 동거 기간에 생긴 재산은 절반씩 나눈다’는 내용 등을 적었다.
권중돈 목원대 사회복지학과 교수는 “조사 자료가 없어 동거 노인 숫자를 단정하기 어렵지만 늘어나는 것은 사실”이라며 “동거는 재혼보다 갈등 관계에서 좀 더 자유롭지만 법적 규제를 덜 받아 안정성이 떨어지는 탓에 한쪽이 버려지거나 자식들로부터 인정받지 못해 쫓겨나기도 한다”고 말했다.
노인의 법적 혼인·재혼은 여전히 강세다. 통계청에 따르면 60세 이상 남자의 혼인은 2010년 4800명에서 2011년 4900명, 2012~13년 각각 5100명에 이어 지난해 5200명으로 늘었다. 같은 연령 여자의 혼인도 2010년 1900명에서 2011년 2100명, 2012~13년 각각 2300명에 이어 지난해 2400명으로 조금씩 증가하고 있다.
배정원(세종대 겸임교수) 행복한 성문화센터 대표는 “외롭기도 하고 혼자 살다 옆에 아무도 없이 죽음을 맞을 수 있다는 공포가 짝을 찾게 한다”고 봤다. 도시 주변 러브호텔에는 남녀 노인이 짝을 지어 찾는 일이 적지 않고, 콜라텍에서는 외제차를 끌고 온 노인이 인기를 끄는 등 젊은 층과 별반 다르지 않은 데이트 풍경을 연출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배 대표는 “재혼은 합법적으로 떳떳하게 살고자 선택하는 것으로 문제는 자식들”이라고 밝혔다. 황혼 재혼은 개인의 자율성을 찾아 행복을 추구하는 장점이 있다. 동반자가 있어 안정감이 생기고 외로움과 성적 욕구를 일정 부분 해소할 수 있다. 반면 경제력이 뒷받침되지 않는 황혼 이혼이나 재혼은 삶을 더 어렵게 하기도 한다. 배 대표는 “노인들은 이혼과 재혼을 합리적으로 생각한다. 자식도 합리적이지만 유산 등의 문제로 반대하는 경우가 많다. 그래서 재산 있는 노인이 재혼하기가 더 힘들다”고 말했다.
황혼 재혼이 많은 것은 이혼이 그만큼 는다는 얘기다. 30년 넘게 살다 헤어진 부부 비율이 전체 이혼에서 2010년 7.5%, 2011년 7.9%, 2012년 8.6%, 2013년 9.4%, 지난해 10.3%로 갈수록 증가한다. 성격 차이, 장기 별거, 가출, 외도, 가정폭력 등이 주요인이다.
권 교수는 “수명이 길어지면서 황혼 이혼이나 재혼이 늘어날 수밖에 없다. 자식들이 이를 긍정적으로 받아들이고 도울 수 있도록 생각을 바꿔야 한다”면서 “다만 황혼 이혼이나 재혼 모두 건강과 경제력이 뒷받침되지 않으면 더 불행해질 수 있다는 점을 명심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대전 이천열 기자 sky@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