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기념비 제작 맡은 조각가 이경복
“새 기념비가 사람들에게 1987년 6월의 함성을 다시 떠올리게 하는 상징이자 통로가 되기를 바랍니다. 이한열은 28년 전 독재에 저항하던 모든 젊은이들의 모습 그 자체이니까요.”이경복 작가가 26일 경기 남양주시의 작업장에서 ‘이한열 열사 기념비’의 제작 방향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강성남 선임기자 snk@seoul.co.kr
강성남 선임기자 snk@seoul.co.kr
26일 경기 남양주시 와부읍 석주조각원. 이경복(50) 작가는 이한열 열사의 새 기념비 제작의 막바지 작업을 하느라 5월 불볕더위도 잊은 듯했다.
전두환 독재정권을 향한 민주화 외침이 전국을 울리던 그해 6월 9일. 연세대 2학년 이한열이 머리에 최루탄을 맞고 쓰러졌다. 이한열은 그로부터 27일 만에 숨을 거뒀지만 그의 죽음은 대한민국 역사의 지침을 돌려놓는 위대한 이정표가 됐다. 그의 피가 연세대 정문에 뿌려지고 난 이듬해, 넋을 기리기 위해 교내 한열동산에 추모비가 세워졌다. 하지만 30년에 가까운 풍상 속에 추모비는 곳곳에 상처가 났다. 이한열기념사업회는 기념비를 새로 만들기로 하고 이 작가에게 제작을 의뢰했다.
이 작가는 이 분야의 전문가다. 2011년 러시아 연해주 지역에 새롭게 세워진 ‘안중근 외 11인의 단지동맹 기념비’가 그의 작품이다. 그는 이날 높이 1.3m의 원석 주위를 맴돌며 쉴 틈 없이 일했다. 올 3월 본격적으로 시작된 이 작업에 석공예명장 김동철(53)씨 등 베테랑 석장 4명이 달라붙었다. 기념비는 다음달 9일 한열동산에서 처음 공개된다.
이 작가와 이한열기념사업회는 이 상징물의 명칭을 ‘추모비’에서 ‘기념비’로 바꿨다.“이한열이라는 인물에 대한 추모를 넘어서 그의 죽음을 박종철 고문 치사 사건과 함께 민주화 항쟁의 도화선으로 기억하자는 의미입니다.”
기념비의 원석은 52t 짜리 보령암이다. 보령암은 검은 빛을 내는 화강암 중에서도 입자가 곱고 단단해 보존성이 뛰어난 원석으로 알려져있다. “한국 민주주의 격동기의 기억을 간직하는 기념비이기에 널찍한 모습에 강인한 기운을 지닌 원석을 골랐습니다.”
기념비에는 최루탄을 맞은 이 열사가 7월 5일 숨지고, 7월 9일 국민장이 치러질 때 나이가 22살이었다는 것을 함축하는 ‘198769757922’이라는 숫자가 새겨진다. 기념비 앞에는 디지털 시계도 함께 설치된다. 이 작가는 “기념비를 지나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현재의 나와 기념비가 설명하고 있는 이한열 열사 사망 사건과의 관계를 질문해볼 수 있도록 구상했다”고 했다.
28년간 연세대 한열동산을 지킨 이한열열사추모비는 추후 보존작업을 거쳐 연세대 박물관에 전시될 예정이다. 이 추모비의 보존 작업 역시 이 작가가 맡았다.
최훈진 기자 choigiza@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