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제주 항로 경제적 효과
인천∼제주 항로 여객 수익은 화물보다는 떨어지지만 이용객이 연간 11만명에 달해 세월호 참사 전까지는 비교적 ‘노른자 항로’로 통했다. 비행기보다 배로 가는 것은 본격적인 제주 관광에 앞서 뱃길 관광이라는 색다른 묘미가 있어 인천뿐 아니라 수도권에서 발길이 밀려들었다.인천∼제주 여객 수송은 2009년 10만 1290명, 2010년 11만 5272명, 2011년 10만 415명, 2012년 9만 8104명, 2013년 11만 8717명으로 꾸준히 10만∼11만명을 유지했다.
세월호 여객 운임은 객실 등급에 따라 7만 1000∼28만원이었다. 여객과 화물을 함께 실어 나르던 세월호의 2013년 전체 수입은 213억 8536만원으로 화물이 159억 5783만원, 여객은 54억 2753만원이었다. 여객이 화물 수입보다 적지만 넓은 공간을 차지하고 입출입 관리, 고박·안전장치 등이 필요한 화물과 달리 여객은 객실만 확보하면 돼 상대적으로 쉬운 돈벌이다. 세월호의 차량 운임은 대당 10만~14만원이었다.
그런데도 세월호 사고 1년이 되도록 여객선 사업자가 나타나지 않는 것은 세월호에 대한 국민적 충격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다. 요즘 인천에서 배를 타고 제주로 갈 방법이 없어도 불편을 호소하는 사람들은 거의 없다.
항만업계 관계자는 “대형 사고가 나도 대개 수개월이 지나면 국민들의 기억에서 지워지지만, 세월호는 학생들이 대거 희생된 초유의 사고인 데다 특별조사위원회가 이제 막 활동을 시작해 여파는 앞으로도 상당 기간 지속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김학준 기자 kimhj@seoul.co.kr
2015-04-13 5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