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완종 리스트’에 정치인 8명 포함…김기춘·허태열, 홍준표까지 언급

‘성완종 리스트’에 정치인 8명 포함…김기춘·허태열, 홍준표까지 언급

입력 2015-04-10 14:02
수정 2015-04-10 15:3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성완종 메모 발견, 김기춘, 허태열, 홍준표 등 언급.
성완종 메모 발견, 김기춘, 허태열, 홍준표 등 언급. 성완종 전 경남기업 회장이 9일 영장실질심사를 앞두고 스스로 목숨을 끊은 가운데 시신에서 정치권에 금품을 건넨 정황을 담은 메모가 발견됐다. 사진은 지난 8일 서울 중구 을지로 은행회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이명박 정부 시절 특혜를 받았다는 의혹에 대해 자신은 피해자라고 주장하고 있는 모습.
손형준 기자 boltagoo@seoul.co.kr
’성완종 리스트’에 정치인 8명 포함…김기춘·허태열, 홍준표까지 언급

’자원외교 비리 의혹’으로 검찰 수사를 받다가 스스로 목숨을 끊은 성완종(64) 전 경남기업 회장이 정치권에 거액의 비자금을 건넨 정황이 담긴 메모를 검찰이 확보했다.

10일 서울중앙지검 특수1부(임관혁 부장검사)에 따르면 전날 성 전 회장의 시신을 검안하는 과정에서 김기춘·허태열 전 청와대 비서실장 등의 이름과 특정 액수가 적힌 쪽지가 발견됐다.

검찰 등에 따르면 이 쪽지에는 허태열 전 청와대 비서실장 7억, 그 옆에 유정복 인천시장의 이름과 3억이라는 내용이 적혀 있다. 또 홍문종 2억, 홍준표 1억, 부산시장 2억이라고 돼 있다. 특히 김기춘 전 비서실장 옆에는 10만 달러라는 금액과 2006년 9월 26일이라는 날짜까지 적혀 있다.

메모에는 이병기 현 청와대 비서실장과 이완구 국무총리 이름도 적혀 있지만 금액과 날짜는 명시되지 않았다.

검찰 관계자는 “글씨가 성 전 회장의 필적이 맞는지를 최종적으로 판단하기 위해 감정을 의뢰하는 한편 장례절차가 끝나는 대로 유족과 경남기업 측에 관련 자료를 요청하는방안을 검토 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메모에 적힌 인사들은 비자금 수수 의혹에 “사실 무근”이라며 전면 부인하고 있다.

김기춘 전 대통령 비서실장은 공식입장을 담은 문자메시지를 통해 “고인이 된 성완종 씨에 대해서는 개인적으로 안타까운 마음이고 명복을 빌지만 금품수수 주장은 일말의 근거도 없는 황당무계한 허위임을 분명히 밝힌다”고 반박했다.

김 전 실장은 “저는 성완종 씨로부터 단 한 푼의 돈도 받은 적이 없다. 성완종 씨의 일방적이고 악의적인 주장이 마치 사실인 양 보도되고 있는 것은 저의 명예에 회복할 수 없는 손상을 입히는 일로 즉시 중단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강조했다.

허태열 전 실장도 오후 ‘보도 해명자료’를 내고 “(2007년 한나라당 대선 후보) 경선 당시 박근헤 후보 자신이 클린 경선 원칙 하에 돈에 대해서는 결백할 정도로 엄격하셨고, 이를 기회 있을 때마다 캠프 요원들에게도 강조해왔기 때문에 그런 금품거래는 상상조차 할 수 없는 일”이라고 밝혔다.

또 홍준표 경남지사는 종편채널 TV조선 인터뷰에서 “성 전 회장을 개인적으로 만난 일이 없다. 안부 전화나 한두번 정도 받은 적이 있을 뿐이며 최근에는 통화한 일도 없다”고 해명했다.

홍문종 새누리당 의원도 “성 전 회장하고 나하고 그럴 관계가 아니다. 뭔가 잘못돼도 보통 잘못된 게 아니다”라고 반박했고, 이름 대신 직책만 적혀 있던 서병수 부산시장도 “새누리당 사무총장 당시 성 전 회장이 선진당 원내대표를 맡고 있어 두 당의 통합 과정을 논의하면서 그 때부터 알고 지냈다. 그 이후로도 몇번 통화하고 만나기도 했지만 성 전 회장이 금품을 건넬만한 일을 한 적이 없다.”고 말했다.

현재 휴가 중인 유정복 인천시장도 우승봉 인천시 대변인을 통해 “성 전 회장으로부터 ‘1원 한 푼 받은 적 없다”고 단호하게 말한 것으로 전해졌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추계기구’ 의정 갈등 돌파구 될까
정부가 ‘의료인력 수급 추계기구’ 구성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정부는 이 기구 각 분과위원회 전문가 추천권 과반수를 의사단체 등에 줘 의료인의 목소리를 충분히 반영한다는 입장입니다. 반면 의사들은 2025학년도 의대 증원 원점 재검토 없이 기구 참여는 어렵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습니다. 이 추계기구 설립이 의정 갈등의 돌파구가 될 수 있을까요?
그렇다
아니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