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역사교사모임은 전국 중·고교 역사 교사와 역사 과목을 가르치는 초등학교 교사 등 858명을 대상으로 한국사 교과서의 국정 전환에 대해 물어본 결과, 97%(854명)가 반대하는 것으로 조사됐다고 20일 밝혔다.
전국 중·고교 역사 교사는 약 6천명으로, 설문 대상은 전체의 14% 정도다.
바람직한 역사 교과서 발행 체제에 대한 물음에는 검인정 체제가 68.5%로 가장 많았고, 출판사에 자율 편집권을 주는 자유발행제가 28.6%, 국정제는 2.6%에 그쳤다.
검인정제를 선호하는 이유는 ‘역사 해석의 다양성이 어느 정도 보장돼야 하기 때문에’(42.2%)와 ‘국정교과서는 정권의 입맛대로 쓰일 가능성이 있어서’(40.5%)라는 응답이 많았다.
소수였지만 국정제를 선호한다고 답한 교사들은 43.5%가 ‘검인정제 하에는 교과서가 너무 많아 배우고 가르치는데 어려운 점이 많아서’라고 답했다.
교육부의 역사 교과서 발행과정의 편수 기능 강화 방침에 대해서는 91.7%가 ‘필요없다’고 답했고, ‘필요하다’는 대답은 8.3%였다.
편수기능 강화가 필요 없는 이유에 대해 교사들은 44.7%가 ‘국가가 특정한 시각을 교과서에 반영시킬 가능성이 크므로’라고 답했다.
이어 ‘불순한 정치적 의도로 진행되고 있어 교육의 정치적 중립성이 훼손되고 있어서’(28.7%), ‘다양한 역사적 시각을 일률적인 잣대로 평가해 역사학 발전에 역행하기 때문에’(21.3%)가 뒤를 이었다.
현행 중·고교 역사교과서 검정 체제의 내실화를 위한 방법으로는 ‘역사단체를 중심으로 전문성을 갖춘 인사가 독립적으로 검정을 실시해야 한다’는 답변이 57.7%로 가장 많았다.
’검정 심의위원의 수를 늘리고 검정 기간을 충분히 확보한다’는 답변도 23.1%에 달했다.
연합뉴스
전국 중·고교 역사 교사는 약 6천명으로, 설문 대상은 전체의 14% 정도다.
바람직한 역사 교과서 발행 체제에 대한 물음에는 검인정 체제가 68.5%로 가장 많았고, 출판사에 자율 편집권을 주는 자유발행제가 28.6%, 국정제는 2.6%에 그쳤다.
검인정제를 선호하는 이유는 ‘역사 해석의 다양성이 어느 정도 보장돼야 하기 때문에’(42.2%)와 ‘국정교과서는 정권의 입맛대로 쓰일 가능성이 있어서’(40.5%)라는 응답이 많았다.
소수였지만 국정제를 선호한다고 답한 교사들은 43.5%가 ‘검인정제 하에는 교과서가 너무 많아 배우고 가르치는데 어려운 점이 많아서’라고 답했다.
교육부의 역사 교과서 발행과정의 편수 기능 강화 방침에 대해서는 91.7%가 ‘필요없다’고 답했고, ‘필요하다’는 대답은 8.3%였다.
편수기능 강화가 필요 없는 이유에 대해 교사들은 44.7%가 ‘국가가 특정한 시각을 교과서에 반영시킬 가능성이 크므로’라고 답했다.
이어 ‘불순한 정치적 의도로 진행되고 있어 교육의 정치적 중립성이 훼손되고 있어서’(28.7%), ‘다양한 역사적 시각을 일률적인 잣대로 평가해 역사학 발전에 역행하기 때문에’(21.3%)가 뒤를 이었다.
현행 중·고교 역사교과서 검정 체제의 내실화를 위한 방법으로는 ‘역사단체를 중심으로 전문성을 갖춘 인사가 독립적으로 검정을 실시해야 한다’는 답변이 57.7%로 가장 많았다.
’검정 심의위원의 수를 늘리고 검정 기간을 충분히 확보한다’는 답변도 23.1%에 달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