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서 치매 노모와 장애 아들 화재로 사망

전주서 치매 노모와 장애 아들 화재로 사망

입력 2014-05-24 00:00
수정 2014-05-24 23:1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치매를 앓는 노모와 지체장애인인 50대 아들이 집에 난 불을 피하지 못하고 함께 숨지는 안타까운 일이 벌어졌다.

24일 오후 7시께 전북 전주시 인후동의 한 주택에서 불이 나 전모(89·여)씨와 아들 성모(56)씨가 숨졌다.

전씨는 2년여 전부터 치매를 앓았고, 아들 성씨도 과거에 당한 교통사고로 지체장애를 앓아 빠져나오지 못한 것으로 추정된다.

불은 단층 주택 내부 80㎡와 가재도구 등을 태우고 40여 분 만에 진화됐다.

행인의 신고를 받은 소방대가 즉시 현장에 출동했지만 이미 집안 전체로 불길이 번진 뒤였다.

소방 관계자는 “불이 난 집은 지은 지 40여년이 넘은 낡은 한옥이어서 도착했을 때는 이미 집안 전체로 불길이 번져있었고 진화 과정에서 지붕의 흙더미들이 떨어져 내려 어려움을 겪었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불길을 잡은 상태에서 내부를 수색하다가 주방과 작은방에서 각각 아들과 어머니의 시신을 발견했다”고 덧붙였다.

경찰과 소방당국은 불이 주방 쪽에서 시작됐지만 몸이 불편한 두 사람이 미처 밖으로 빠져나오지 못한 것으로 보고 정확한 화인을 조사하고 있다.

또 국립과학수사연구원에 부검을 의뢰해 정확한 사망 원인을 밝히기로 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2 / 5
“도수치료 보장 안됩니다” 실손보험 개편안, 의료비 절감 해법인가 재산권 침해인가
정부가 실손의료보험 개편을 본격 추진하면서 보험료 인상과 의료비 통제 문제를 둘러싼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비급여 진료비 관리 강화와 5세대 실손보험 도입을 핵심으로 한 개편안은 과잉 의료 이용을 막고 보험 시스템의 지속 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한 조치로 평가된다. 하지만 의료계와 시민사회를 중심으로 국민 재산권 침해와 의료 선택권 제한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과잉진료를 막아 전체 보험가입자의 보험료를 절감할 수 있다.
기존보험 가입자의 재산권을 침해한 처사다.
2 / 5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