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민의 반발 속에 한전이 공사를 강행하는 경남 밀양 송전탑 현장에 경찰이 과도하게 투입돼 공권력 남용이란 지적이 제기됐다.
이미지 확대
밀양765kV 송전탑 반대 대책위원회 등이 30일 2013 국회안전행정위원회 국정감사가 열리는 경남도청 앞에서 밀양 송전탑 인권침해 사례를 폭로하는 기자회견을 열고 있다. 연합뉴스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밀양765kV 송전탑 반대 대책위원회 등이 30일 2013 국회안전행정위원회 국정감사가 열리는 경남도청 앞에서 밀양 송전탑 인권침해 사례를 폭로하는 기자회견을 열고 있다. 연합뉴스
국회 안전행정위원회 민주당 박남춘 의원은 30일 경남경찰청 국정감사 보도자료에서 “이달 1일부터 21일까지 송전탑 공사 현장에 모두 438개 중대 3만 5천860명이 투입, 하루 평균 1천666명에 이른다”면서 “이는 반대 주민 200~300명의 5~6배로 경찰 투입 인원이 지나치다”고 지적했다.
제주 해군기지에 투입된 경찰 인원과 비교해도 공권력이 과도하다고 박 의원은 주장했다.
제주 해군기지 갈등 때 2년간 투입된 경찰은 총 19만 9천711명, 하루 평균 273명이었던 것과 비교해 6배나 된다는 것이다.
반면에 해군기지 반대 주민은 1천600여 명으로 밀양 반대 주민들보다 훨씬 많았다고 박 의원은 덧붙였다.
박 의원은 “반대 주민 대부분이 고령에다 소수인 점을 고려하면 현장에 투입된 경찰 인력은 과잉을 넘어 공권력 남용에 해당한다”면서 “제2의 용산 참사가 되풀이되지 않도록 조속히 과다 인력을 철수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정부가 실손의료보험 개편을 본격 추진하면서 보험료 인상과 의료비 통제 문제를 둘러싼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비급여 진료비 관리 강화와 5세대 실손보험 도입을 핵심으로 한 개편안은 과잉 의료 이용을 막고 보험 시스템의 지속 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한 조치로 평가된다. 하지만 의료계와 시민사회를 중심으로 국민 재산권 침해와 의료 선택권 제한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