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등록금 평균 667만8천원…3만1천원 ‘찔끔’ 인하

대학등록금 평균 667만8천원…3만1천원 ‘찔끔’ 인하

입력 2013-04-25 00:00
수정 2013-04-25 11:3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14

전년 인하율의 1/10수준 …상위 15개 대학 평균은 823만원에 달해

전국 4년제 대학의 2013학년도 등록금이 평균 0.46% 내렸다. 전년도 인하율의 10분의 1 수준이다. 수도권 대학의 등록금은 평균 750만원을 넘어 학부모들의 부담이 여전하다.

25일 교육부와 한국대학교육협의회가 전국 4년제 일반대학 173개교의 주요 공시내용을 분석한 결과를 보면 173개 4년제 일반대학의 2013학년도 연간 평균 등록금은 667만8천원으로 전년(670만9천원)보다 3만1천원(0.46%) 인하됐다.

2012학년도 등록금 인하율은 4.3%였다. 2년 연속 대학의 등록금 인하가 이어졌으나 이번 학년도 인하율은 전년의 10분의 1 수준으로 떨어졌다.

사립대 등록금의 인하율이 0.47%로 국·공립대의 인하율 0.19%보다 컸다. 하지만 절대 액수에서 사립대는 733만9천원으로 국·공립대 409만6천원의 1.8배나 됐다.

지역별로 수도권 대학 등록금은 평균 759만3천원, 비(非)수도권은 621만9천원으로 전년보다 각각 0.73%, 0.30% 내렸다.

대학별로는 을지대의 평균 등록금이 852만1천원으로 가장 비쌌다. 이어 연세대(850만7천원), 한국항공대(847만6천원), 이화여대(840만6천원), 추계예술대(838만7천원) 순이었다. 상위 15개 대학의 평균 등록금은 827만9천원에 달했다.

이번 학년도에 등록금 인하율이 가장 높은 대학은 칼빈대였다. 전년 700만2천원에서 이번에 664만1천원으로 5.2%나 내렸다. 안양대(-4.9%), 총신대(-4.7%), 성신여대(-4.6%), 대진대(-3.0%) 등도 등록금 인하 노력을 많이 했다.

이들 대학을 비롯해 135개교가 등록금을 인하했고, 19개교가 동결했다. 9개교는 명목 등록금이 동결됐으나 평균 등록금 산출공식에 따라 0∼1% 가량 인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른바 ‘학점 인플레’ 현상은 약간이나마 개선됐다.

지난해 8월과 올해 2월에 졸업한 학생들의 성적분포를 보면 A학점 33.2%, B학점 56.8%으로 B학점 이상 받은 이들의 비율이 90.0%에 달했다. 전년과 비교하면 0.3%포인트 감소했다. A학점 비율은 0.7%포인트 줄었으나 B학점 비율은 0.4% 포인트 늘었다.

학점 인플레는 사립대보다 국·공립대가 더 심했다. 국·공립대 졸업생의 B학점 이상 취득비율은 94.2%로 전년보다 0.3% 포인트 늘었다. 사립대는 88.8%로 국·공립대보다 비율이 낮을 뿐 아니라 전년과 비교해서도 0.4% 포인트 감소했다.

2012학년도 재학생이 B학점 이상 받은 비율은 71.9%로 전년보다 1.1% 포인트 감소했다. 국·공립대 73.3%, 사립대는 71.6%로 모두 1.2% 포인트, 1.0%포인트 줄었다.

올해 1학기 개설된 총 강좌수는 29만3천342건으로 지난해보다 1.8% 늘었다.

특히 20명 이하 소규모 강좌비율이 37.6%로 1.7%포인트 증가했다. 이 비율은 2010년 30.4%에서 2011년 30.6%, 지난해 35.9%로 최근 늘어나는 추세다.

이와 달리 51명 이상 대규모 강좌는 이번 1학기에 16.8%로 전년보다 1.2%포인트 감소했다. 교육부는 대학 강의의 질 개선 노력이 지속됨에 따라 소규모 강좌가 증가하고 중대규모 강좌가 감소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전임교원의 강의담당 비율은 58.4%로, 전년보다 3.1% 포인트 증가했다. 국·공립대는 56.3%, 사립대 58.9%로, 전임교원 비율은 국·공립대가 사립대보다 낮았다.

자세한 공시내용은 ‘대학알리미(www.academyinfo.go.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연합뉴스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추계기구’ 의정 갈등 돌파구 될까
정부가 ‘의료인력 수급 추계기구’ 구성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정부는 이 기구 각 분과위원회 전문가 추천권 과반수를 의사단체 등에 줘 의료인의 목소리를 충분히 반영한다는 입장입니다. 반면 의사들은 2025학년도 의대 증원 원점 재검토 없이 기구 참여는 어렵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습니다. 이 추계기구 설립이 의정 갈등의 돌파구가 될 수 있을까요?
그렇다
아니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