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합병증 예측… 추가 질병 막을 수 있죠”

“합병증 예측… 추가 질병 막을 수 있죠”

입력 2012-10-24 00:00
수정 2012-10-24 01:1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김상욱 교수 4500만명 분석… 국제학술지에 연구결과 발표

비만인 사람은 당뇨병이나 고혈압에 걸릴 확률이 높다. 특정 질병을 앓고 있는 환자가 앞으로 어떤 합병증(공존 질환)에 걸릴 가능성이 높은지 미리 알아볼 수 있는 기술이 국내에서 개발됐다.

이미지 확대
김상욱 포스텍 정보전자융합공학부 교수
김상욱 포스텍 정보전자융합공학부 교수
이를 활용하면 질병 진단 초기 단계부터 향후 환자에게 나타날 수 있는 증상을 미리 예측해 선제적인 처방이 가능하다.

김상욱 포스텍 정보전자융합공학부 교수는 “4500만명의 질병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질병을 일으키는 유전자(DNA)의 진화 속도가 비슷한 질병끼리 합병증으로 나타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고 23일 밝혔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사이언티픽 리포트’ 최신 호에 실렸다.

질병을 일으키는 유전자를 ‘질병 원인 유전자’라고 부른다. 김 교수팀은 서로 다른 질병 원인 유전자의 염기서열이 변하는 정도(진화도)를 측정한 뒤 미국질병관리본부에 등록된 4500만명의 질병 기록과 대조해 연관관계를 살폈다. 그 결과 질병 원인 유전자의 진화 속도가 비슷할수록 합병증이 나타날 확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대체로 진화 속도가 빠른 유전자는 주로 호흡기와 면역 질환을 일으키고 느린 유전자는 근육이나 골격계 이상의 합병증으로 나타나는 것으로 조사됐다.

박건형기자 kitsch@seoul.co.kr

2012-10-24 2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4 / 5
“도수치료 보장 안됩니다” 실손보험 개편안, 의료비 절감 해법인가 재산권 침해인가
정부가 실손의료보험 개편을 본격 추진하면서 보험료 인상과 의료비 통제 문제를 둘러싼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비급여 진료비 관리 강화와 5세대 실손보험 도입을 핵심으로 한 개편안은 과잉 의료 이용을 막고 보험 시스템의 지속 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한 조치로 평가된다. 하지만 의료계와 시민사회를 중심으로 국민 재산권 침해와 의료 선택권 제한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과잉진료를 막아 전체 보험가입자의 보험료를 절감할 수 있다.
기존보험 가입자의 재산권을 침해한 처사다.
4 / 5
3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