녹조 독성물질 수질감시항목 지정

녹조 독성물질 수질감시항목 지정

입력 2012-09-16 00:00
수정 2012-09-16 12:1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환경부는 녹조가 발생했을 때 생길 수 있는 독성물질인 마이크로시스틴을 내년부터 먹는물 수질감시항목으로 지정해 관리할 계획이라고 16일 밝혔다.

간암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진 마이크로시스틴은 남조류의 일종인 마이크로시스티스에서 나온다. 지난달 한강에 녹조가 퍼졌을 때 수도권 상수원인 팔당호에서 극미량 검출된 바 있다.

환경부는 마이크로시스틴의 4가지 검출형태 가운데 상대적으로 독성이 강한 마이크로시스틴-LR(microcystin-LR)을 수질감시항목에 집어넣고 세계보건기구(WHO)의 권고기준인 1㎍/ℓ 이하로 관리할 계획이다.

상수원에서 녹조가 발생할 경우 일주일에 1∼3차례 수질을 검사해 마이크로시스틴에 대한 감시를 강화하기로 했다.

마이크로시스틴은 지금까지 국내 상수원에서 모두 15번 검출됐는데 농도가 최고 51.67㎍/ℓ까지 측정됐다. 정수장에서는 검출된 적이 없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2 / 5
“도수치료 보장 안됩니다” 실손보험 개편안, 의료비 절감 해법인가 재산권 침해인가
정부가 실손의료보험 개편을 본격 추진하면서 보험료 인상과 의료비 통제 문제를 둘러싼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비급여 진료비 관리 강화와 5세대 실손보험 도입을 핵심으로 한 개편안은 과잉 의료 이용을 막고 보험 시스템의 지속 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한 조치로 평가된다. 하지만 의료계와 시민사회를 중심으로 국민 재산권 침해와 의료 선택권 제한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과잉진료를 막아 전체 보험가입자의 보험료를 절감할 수 있다.
기존보험 가입자의 재산권을 침해한 처사다.
2 / 5
2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