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일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혼외 출산율은 2.11%로 전년(2.05%)보다 0.6% 포인트 증가했다. 혼외 출산율이 2.11%라는 것은 출생아 100명 가운데 2.11명이 혼외 출산이라는 의미다. 혼외 출생아 수는 2003년부터 해마다 늘어나고 있어 이대로라면 올해 1만명을 넘을 가능성이 커 보인다. 일각에서는 유럽에서 보편화된 ‘동거 출산’ 등 전통적인 결혼관의 변화에서 원인을 찾기도 한다.
혼외 출생아 증가 흐름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에서도 뚜렷하다. OECD 가족통계 데이터베이스를 보면 OECD 회원국 평균 혼외 출산율은 1980년 11% 수준에서 2009년 36.3%로 높아졌다. 2009년 기준으로 아이슬란드(64.1%), 멕시코(55.1%), 스웨덴(54.7%), 프랑스(52.6%)처럼 출생아의 절반 이상이 혼외 출산인 나라도 많았다. 우리나라(2009년 기준 1.95%)는 OECD 회원국에 비하면 아직 낮은 수준이다. 김영철 한국개발연구원(KDI) 연구위원은 “미혼율 상승과 초저출산에 대응하려면 우선 일과 가정이 양립할 수 있는 정책으로 결혼에 대한 부담을 덜어줘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진아기자 jin@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