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의점’은 급증하고 ‘문구점’은 사라졌다

‘편의점’은 급증하고 ‘문구점’은 사라졌다

입력 2012-06-20 00:00
업데이트 2012-06-20 11:1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최근 10년 경기도 업종별 사업체 증감 현황

편의점과 통신기기소매점, 자전거소매점은 대폭 늘어나고 문구점, 중국음식점, 동네슈퍼는 크게 줄었다.

경기도가 2010년 경기도 사업체 조사결과를 토대로 지난 10년간 늘어난 업종의 사업체와 줄어든 업종의 사업체를 분석했다.

20일 이 자료에 따르면 2000년 530곳이던 24시간 운영 편의점은 10년 뒤인 2010년 4천165개로 무려 8배 가까이로 급증했다.

또 이동통신기술 발달과 이동통신 기기 이용자 증가로 통신기기소매점도 이 기간 1천567곳에서 4천844곳으로 3배로 늘었다.

안경이 패션아이템 중 하나로 자리 잡고 젊은 학생들을 중심으로 시력이 떨어지면서 안경점 또한 70.5% 증가했고, 나홀로 가구와 맞벌이 가정의 증가로 세탁업소도 22.2% 늘었다.

이밖에 자전거 열풍에 따라 자전거소매점이 44.6% 늘었으며, 한동안 감소세를 보이던 당구장과 커피점(다방)은 최근 다시 증가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반면, 이 기간 동네슈퍼는 편의점 증가의 여파로 1만8천146곳에서 1만4천678곳으로 19.1% 감소했고, 문구점도 각급 학교의 학습준비물 제공 및 학생ㆍ학교수 감소영향으로 4천687곳에서 3천534곳으로 24.6% 줄었다.

또 피자와 햄버거 등의 인기가 증가하면서 중국음식점 역시 4천468곳에서 3천838곳으로 14.1%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다시 증가세를 보이고는 있으나 PC방과 커피점(다방) 역시 이 기간 전체적으로는 7.2%와 13.8% 감소했다.

경기도의 한 관계자는 “개인 사업체의 경우 유행에 민감해 인기 업종이 한번 생기면 동일한 업체가 급격히 늘어났다 사라지곤 한다”며 “소자본 개인 창업자들은 이런 흐름에 따른 피해가 없도록 면밀한 사전조사와 분석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