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폭력 현장경찰도 “실효성 의문”
경찰은 직접 학교를 방문, 예방 강연을 하고 있다. 지난해 12월 발생한 대구 중학생 자살 사건에 대한 동영상을 보여 주고 학교폭력에 대한 퀴즈를 풀게 하고 있다. 예컨대 ‘학교폭력 신고는 어디로 하나’, ‘정답은 117’ 같은 식이다.
그러나 강연에 나가는 경찰들은 머쓱한 표정을 짓고 있다. 한 여성청소년계 소속 경찰은 “학생들의 관심을 끌기 위해 프레젠테이션에 스티브 잡스의 명언을 넣는 등 나름 신경을 썼지만 학생들은 학교에서 강연을 들으라고 하니까 억지로 참여하는 등 별다른 관심을 보이지 않고 있다.”고 전했다.
경찰은 보복 폭행을 막기 위해 피해 학생과 가해 학생에게 일주일에 한 번 이상 스마트폰 ‘카카오톡’으로 연락을 취하고 있다. 수시로 학생들의 상황을 점검하려는 경찰의 고육책이지만 학생들은 그다지 신경 쓰지 않는 편이다.
또 다른 여성청소년계 소속 경찰은 “내가 보낸 글을 상대방이 읽었다고 분명히 표시가 돼 있지만 답글은 없다.”고 했다. 이어 “피해 학생은 더 이상 과거 일을 떠올리고 싶지 않아 하고 가해 학생은 귀찮아한다.”고 설명했다. 경찰은 가해 학생이 적극 예방교육에 참석하도록 하기 위해 함께 축구 경기를 보러 가거나 유명인을 섭외해 강연을 듣게 하고 있다.
경찰의 노력에 비해 학생들은 대수롭지 않게 여기고 있다. 학생 입장에서는 학교폭력 예방교육이 대체로 ‘이런저런 행위는 하지 말아야 한다’는 것에 초점을 맞추고 있을 뿐 건전하게 노는 방법이나 장소 등에 대한 실질적인 교육이 전혀 없어서다. 경찰의 범위를 넘어선 탓에 난감한 실정이다. ‘학교폭력 어떻게 만들어지는가’라는 책을 쓴 문재현 마을공동체교육연구소장은 “경찰은 학교에서 감당하기 어려운 광역화된 일진 조직이나 심각한 범죄 상황을 관리해야 하는 시점에 예방교육 등에 나서는 형편”이라면서 “책임이 학교나 교육 당국이 아닌 경찰에 떠넘겨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김진아·명희진기자 jin@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