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퇴·자녀결혼 자금 충당
나이가 들수록 꾸준히 늘어가던 자가점유율(본인 소유 집에서 사는 비중)이 50대 후반이나 60대 초반부터 꺾이는 것으로 조사됐다. 대신 전·월세 비중은 늘어난다. 은퇴나 자식 결혼 등으로 필요한 자금을 집을 팔아 충당하는 구조이기 때문이다. 2000년 이전에는 고연령에서도 높은 자가점유율이 유지돼 왔으나 2000년 이후에는 이 같은 현상이 사라지고 있다.29일 통계청에 따르면 1990년 당시 30대 후반(35∼39세)의 자가점유율은 42.3%에서 15년 뒤인 2005년 77.4%까지 증가하다가 이들이 50대 후반이 된 2010년 74.8%로 줄어들었다. 이들보다 나이가 많은 40대 초반은 1990년 53.8%의 자가점유율이 50대 초반(2000년) 77.1%까지 늘어나다 50대 후반(2005년)에 76.3%로 줄어들더니 60대 초반(2010년)에는 71.7%로 더 떨어졌다.
자가점유율이 상승하다 떨어지는 시기가 60대 초반에서 50대 후반으로 점점 낮아지는 구조다. 1990년 30대 초반 자가점유율은 29.1%에서 시작해 40대 후반(2005년) 76.0%까지 늘어난 뒤 50대 초반(2010년)에는 76.1%로 상승세가 주춤하는 것도 같은 맥락이다. 노년층은 자가점유율이 줄어드는 대신 월세 비중이 늘어나고 있다. 2010년 기준으로 연령별 월세 비중을 보면 50대 후반까지 줄어들어 10.7%에 달했던 월세 비중은 60대 초반 12.0%, 60대 후반 12.9%, 70대 초반 13.9% 등으로 늘어났다. 통계청 관계자는 “집값이 상대적으로 높고 자가점유율이 낮은 서울과 수도권에서 자가점유율 감소 경향이 더 뚜렷하다.”고 진단했다.
전경하기자 lark3@seoul.co.kr
2012-03-30 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