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속 살균제 공포] “유해물질 든 물티슈 안전허가도 없이 유통”

[생활속 살균제 공포] “유해물질 든 물티슈 안전허가도 없이 유통”

입력 2011-11-12 00:00
업데이트 2011-11-12 00:3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전병율 질병관리본부장 Q&A

전병율 질병관리본부장은 11일 기자회견에서 “국내에서는 연간 60만개의 가습기 살균제 제품이 생산되고 있다.”면서 “이번에 발표한 6종의 제품 외에 실험을 통해 추가로 문제가 발견되는 제품 역시 모두 수거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전 본부장은 또 “가습기 살균제는 공산품으로 판매돼 관리·허가 사각지대에 놓여 있다.”면서 “앞으로는 이를 의약외품(모기약 등 약국 외에서도 판매하지만 의약품처럼 식품의약품안전청이 관리하는 제품)으로 전환해 관리하도록 하겠다.”고 덧붙였다. 다음은 일문일답.

이미지 확대
전병율 질병관리본부장
전병율 질병관리본부장
→문제의 성분은 아이들이 쓰는 물티슈나 진드기 살균제로도 사용된다. 이런 물질은 의약외품으로 전환하지 않나.

-가습기 살균제처럼 호흡기 흡입이 인체에 유해할 수도 있고, 피부 접촉이나 입에 넣는 경우에도 유해 판정을 받을 수 있다. 부처 합동으로 다양한 제품과 각각의 성분에 대해 어떤 위해성이 있는지 계속 파악하겠다.

→해당 물질은 어떤 제품에 사용되는가.

-가습기 첨가제 외에 물티슈, 샴푸 등에서 일반 살균 용도로 쓰인다. 그러나 동일한 물질이라도 접촉 경로에 따라 위해성 여부는 다르다. 이들 물질은 현재까지 흡입을 통해서 폐조직 손상을 일으키는 것으로 확인됐지만 이외 접촉이나 섭취 등으로 인한 손상은 확인되지 않고 있다.

→일부 제조사는 먹어도 안전한 성분이라고 홍보도 하는데.

-(이규홍 흡입독성시험센터장) 염화 에톡시에틸 구아니딘(PGH)이나 폴리헥사메틸렌 구아니딘(PHMG)을 먹어도 안전하다는 것은 일정 부분 사실이며, 이에 대한 안전성 연구도 이미 알려져 있다. 그러나 흡입될 수 있는 제품에 대한 연구는 아직 전무하다. 이러한 상황에서 해당 물질이 가습기 살균제를 통해 인체에 흡입되면서 폐조직 섬유증을 유발한 것이다.

→가습기 살균제를 사용하지 않고 어떻게 가습기를 관리하나.

-수돗물을 사용하더라도 가습기를 충분히 세척할 수 있다. 또 진동자(수증기를 만들어 내는 부분)도 깨끗한 거즈로 닦으면 안전하다. 가습기를 사용할 때 확인되지 않은 물질을 첨가하지 말 것을 당부드린다.

→연구에서 3개 중 나머지 1개 제품은 이상 징후가 나타나지 않았나.

-성분이 일단 다르기 때문에 1개월간 변화가 없더라도 3개월 뒤에는 변화가 있을 수 있다. 나머지 제품도 똑같은 실험을 하면 유해성이 나타날 수 있다.

→국내에서 유통되는 가습기 살균제 제품은 몇 종류나 되나.

-질병관리본부가 파악한 것은 13개였지만 시민사회단체에서 인터넷에서 판매하는 제품까지 총망라해 정보를 제공했고, 최근 새로 제품이 출시된 것도 있어서 모두 20개로 파악하고 있다. 모든 제품의 실험 모델을 만들겠다.

→가습기 살균제는 국내에서 얼마나 팔렸나.

-가습기 살균제 시장 규모는 각 제조업체로부터 자료를 받아 추정한 결과, 연간 20억원 내외인 것으로 확인됐다. 또 제품은 연간 60만개 정도가 생산되는 것으로 파악됐다.

정현용기자 junghy77@seoul.co.kr

2011-11-12 4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