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노원구 월계동 주택가 이면도로에서 최근 시간당 최대 1.9마이크로시버트(μSv)의 방사능이 검출되면서 방사능 불안이 엄습했다. 원자력발전소 주변만이 아니라 일상생활에서도 노출될 수 있다는 인식을 낳은 것이다. 물론 일상에서 접하는 방사능은 “그렇게 위험한 것은 아니다.”라는 게 전문가들의 공통적인 지적이다.
사실 누구나 자연에 있는 방사성물질 또는 우주로부터 받는 방사선에 항상 드러나 있다. 유럽 왕복 비행기 여행 1회에 0.07밀리시버트(m㏜), 음식물에서 0.35m㏜, 우주·대지·공기 중에서 각각 0.35, 0.4, 1.3m㏜ 정도의 방사선을 받는다. 1인당 연간 쐬는 자연 방사선량은 1~10m㏜로 평균 2.4m㏜다. 엑스레이 촬영 등 인공 방사선에 대한 연간 허용치는 1m㏜다. 문제는 이외에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생활 속에서 추가로 맞닥뜨리는 방사능이다.
가장 대표적인 것이 암석이나 토양에 존재하는 ‘라돈’(Rn)이다. 흔히 방사성 가스로 불린다. 체내에 흡수된 라돈이 여러 물질로 붕괴되면서 알파선을 방출, 폐 조직을 파괴하며 암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세계보건기구(WHO)는 전 세계 폐암 발생의 6~15%가 라돈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고 있다.
라돈에 노출되는 가장 흔한 경로는 건축자재다. 그중에서도 주택의 벽체나 사무실 천장 재료로 많이 쓰이는 석고보드다. 지난 6월 국립환경과학원 조사 결과, 국내에 유통되는 석고보드 제품 17개 가운데 1개에서 기준치 이상의 방사능이 나왔다. 석고보드 원료에 따라 비료공장에서 나온 부산물로 만든 석고보드의 라돈 방출량은 화력발전소 부산물로 만든 석고보드의 25배인 것으로 조사됐다. 토양 내 라돈 함유량이 높은 지역에 지은 건물 실내나 지하수를 통해서도 비정상적으로 높은 수치의 라돈 영향을 받을 수 있다.
건강팔찌나 온열매트, 타월 등 일부 음이온 제품에서도 기준치 이상의 방사능이 확인된 적이 있다. 교육과학기술부 조사에 따르면 건강 음이온 타월에서 방사성물질인 토륨(Th) 농도가 g당 최대 8.1베크렐(㏃), 온열매트는 5.0㏃, 팔찌는 3.9㏃이 검출됐다. 국제원자력기구가 정한 토륨의 안전 기준은 1.0㏃이다. 질병 진단을 위한 엑스레이나 컴퓨터단층촬영(CT) 역시 일상생활에서 방사선에 쉽게 노출되는 경로 중 하나다. 흉부 엑스레이 1회 촬영 시 0.1m㏜, CT는 8~10m㏜의 방사선량을 맞는다. 따져야 할 부분은 촬영기기의 노후화나 관리 부실로 병원마다 방사선량이 제각각이라는 사실이다. 식품의약품안전청의 조사에서는 37배 차이가 났다.
한국표준과학연구원 방사능표준센터 이종만 박사는 “건축자재나 온열매트 등은 일상에서 지속적으로 접하기 때문에 이들 제품에서 기준치 이상의 방사능이 검출된다면 해로울 수밖에 없다.”면서 “병원마다 차이가 나는 진단방사선 조사량도 종합적인 관리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정부도 문제의 심각성을 인식, 지난 7월 생활주변방사선안전관리법을 제정했지만 방사성물질이나 제품에 관한 구체적인 지침은 아직 마련하지 못했다. 백원필 한국원자력연구원 원자력안전본부장은 “일상에서의 무분별한 방사능 노출도 문제지만 지나친 염려도 지양해야 한다.”면서 “혼란을 막기 위해 각각의 방사성물질에 대한 세분화된 기준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신진호·김소라기자 sayho@seoul.co.kr
가장 대표적인 것이 암석이나 토양에 존재하는 ‘라돈’(Rn)이다. 흔히 방사성 가스로 불린다. 체내에 흡수된 라돈이 여러 물질로 붕괴되면서 알파선을 방출, 폐 조직을 파괴하며 암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세계보건기구(WHO)는 전 세계 폐암 발생의 6~15%가 라돈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고 있다.
라돈에 노출되는 가장 흔한 경로는 건축자재다. 그중에서도 주택의 벽체나 사무실 천장 재료로 많이 쓰이는 석고보드다. 지난 6월 국립환경과학원 조사 결과, 국내에 유통되는 석고보드 제품 17개 가운데 1개에서 기준치 이상의 방사능이 나왔다. 석고보드 원료에 따라 비료공장에서 나온 부산물로 만든 석고보드의 라돈 방출량은 화력발전소 부산물로 만든 석고보드의 25배인 것으로 조사됐다. 토양 내 라돈 함유량이 높은 지역에 지은 건물 실내나 지하수를 통해서도 비정상적으로 높은 수치의 라돈 영향을 받을 수 있다.
건강팔찌나 온열매트, 타월 등 일부 음이온 제품에서도 기준치 이상의 방사능이 확인된 적이 있다. 교육과학기술부 조사에 따르면 건강 음이온 타월에서 방사성물질인 토륨(Th) 농도가 g당 최대 8.1베크렐(㏃), 온열매트는 5.0㏃, 팔찌는 3.9㏃이 검출됐다. 국제원자력기구가 정한 토륨의 안전 기준은 1.0㏃이다. 질병 진단을 위한 엑스레이나 컴퓨터단층촬영(CT) 역시 일상생활에서 방사선에 쉽게 노출되는 경로 중 하나다. 흉부 엑스레이 1회 촬영 시 0.1m㏜, CT는 8~10m㏜의 방사선량을 맞는다. 따져야 할 부분은 촬영기기의 노후화나 관리 부실로 병원마다 방사선량이 제각각이라는 사실이다. 식품의약품안전청의 조사에서는 37배 차이가 났다.
한국표준과학연구원 방사능표준센터 이종만 박사는 “건축자재나 온열매트 등은 일상에서 지속적으로 접하기 때문에 이들 제품에서 기준치 이상의 방사능이 검출된다면 해로울 수밖에 없다.”면서 “병원마다 차이가 나는 진단방사선 조사량도 종합적인 관리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정부도 문제의 심각성을 인식, 지난 7월 생활주변방사선안전관리법을 제정했지만 방사성물질이나 제품에 관한 구체적인 지침은 아직 마련하지 못했다. 백원필 한국원자력연구원 원자력안전본부장은 “일상에서의 무분별한 방사능 노출도 문제지만 지나친 염려도 지양해야 한다.”면서 “혼란을 막기 위해 각각의 방사성물질에 대한 세분화된 기준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신진호·김소라기자 sayho@seoul.co.kr
2011-11-12 1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