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립운동가이자 교육자였던 김준엽 전 고려대 총장이 7일 고려대 안암병원에서 노환으로 별세했다. 91세.
1920년 평안북도 강계에서 태어난 김 전 총장은 1940년 신의주고등보통학교를 졸업하고 1944년 일본 게이오대에서 유학하던 중 학도병으로 징집됐다가 탈출, 광복군에 참가했다.
그는 해방 후 중국과 대만에서 중국사를 연구했고 1958∼82년 고려대 문과대 교수로 중국 근대사를 가르쳤다. 미국 하버드대(1958년)와 프린스턴대(1968년) 교환교수를 지냈다.
한·중 수교 이듬 해인 1993년 중국 베이징대를 시작으로 2002년까지 산둥, 난징, 옌볜대 등 중국내 9개 대학의 객원 교수직을 맡았다. 1960∼70년대에는 3차례 한국 대표로 유엔총회에 참석했다.
’중국공산당사’ ‘중국 최근세사’ ‘한국공산주의운동연구사’ ‘나와 중국’ ‘회고록 장정(長征)’ 등의 저서를 남겼고 정부로부터 국민훈장 모란장, 독립운동유공표창, 건국포장, 건국훈장을 받았다.
유족으로는 부인 임영주씨와 아들 홍규씨가 있다. 빈소는 고려대 안암병원 장례식장. 장지는 국립 대전현충원에 마련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알려졌다.
인터넷서울신문 event@seoul.co.kr
김준엽 전 고려대 총장.
1920년 평안북도 강계에서 태어난 김 전 총장은 1940년 신의주고등보통학교를 졸업하고 1944년 일본 게이오대에서 유학하던 중 학도병으로 징집됐다가 탈출, 광복군에 참가했다.
그는 해방 후 중국과 대만에서 중국사를 연구했고 1958∼82년 고려대 문과대 교수로 중국 근대사를 가르쳤다. 미국 하버드대(1958년)와 프린스턴대(1968년) 교환교수를 지냈다.
한·중 수교 이듬 해인 1993년 중국 베이징대를 시작으로 2002년까지 산둥, 난징, 옌볜대 등 중국내 9개 대학의 객원 교수직을 맡았다. 1960∼70년대에는 3차례 한국 대표로 유엔총회에 참석했다.
’중국공산당사’ ‘중국 최근세사’ ‘한국공산주의운동연구사’ ‘나와 중국’ ‘회고록 장정(長征)’ 등의 저서를 남겼고 정부로부터 국민훈장 모란장, 독립운동유공표창, 건국포장, 건국훈장을 받았다.
유족으로는 부인 임영주씨와 아들 홍규씨가 있다. 빈소는 고려대 안암병원 장례식장. 장지는 국립 대전현충원에 마련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알려졌다.
인터넷서울신문 event@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