합조단 잠정결론… 金국방 “버블제트에 가장 가까울 것”
천안함 침몰 원인을 조사 중인 민·군 합동조사단은 25일 함수(배 앞부분) 절단면을 육안(肉眼)조사한 결과 어뢰나 기뢰가 배 밑에서 터지는 ‘버블제트’가 배를 두 동강 냈을 가능성이 크다고 밝혔다.윤덕용 합조단 공동단장(민간측)은 국방부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절단면의 찢어진 상태나 안으로 심하게 휘어진 상태를 볼 때 수중폭발 가능성이 높다.”면서 “선체 내·외부에 폭발에 의한 그을음과 열에 녹은 흔적이 전혀 없고 파공된 부분도 없으므로 비접촉 폭발로 판단했다.”고 말했다.
김태영 국방장관도 “버블제트에 가장 가깝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하지만 그 외의 다른 방법도 조사에서 검토 중”이라고 말했다.
윤 단장은 “선체 아랫부분과 좌측이 휘어져 있는 것이 (수중폭발의) 증거”라며 “폭발의 위치는 터빈실 좌현(왼쪽) 하단 수중 어느 곳이 될 것”이라고 했다.
박정이 공동단장(군측)도 “선저부분에 구멍 흔적이 전혀 없고 완전히 말려 올라간 형태이며 용골(함정 뼈대) 부분도 절단돼 완전히 위로 감겨 올라갔다.”고 했다.
합조단에 따르면, 전체 길이가 88.32m인 천안함을 인양한 뒤 측량한 결과 함수와 함미(배 뒷부분)의 좌현 길이가 각각 47.6m, 37.5m로 나타나 3.2m가 모자란다.
또 함수와 함미 우현 길이는 각각 45.4m, 33m로 실측돼 9.9m가 유실됐다. 가스터빈실 좌현 하단 부분이 폭발로 강한 압력을 받았고 이 힘이 오른쪽으로 치솟으면서 좌현과 우현 선체를 각각 3.2m, 9.9m(파손 부위의 최대 직경)나 날려버린 것으로 추정된다.
윤 단장은 “좌현에서 압력을 받아 우측으로 압력이 올라가다 보니 오른쪽 면이 더 많이 손상됐다.”고 했다.
유실된 곳은 배 중앙부에 있던 상사식당과 소자(전자측정)장비실, 기관조종실, 건조물 창고, 사병식당 조리실 등이다. 디미스트(공기흡입구), 연돌(연통), 하푼 미사일도 유실됐다. 가스터빈실은 터빈이 사라지고 10m 정도 텅 비어 있는 상태다.
충격 유발인자가 어뢰인지, 기뢰인지에 대해 박 단장은 “현재 수중 폭발 위치별 시뮬레이션을 하고 있기 때문에 어느 정도 진행되면 알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윤 단장은 “일반적으로 수중 폭발이 나면 충격파 1~2초 후에 버블제트가 생기는데, 폭발점이 선저에 가까울수록 초기 폭발효과가 커지고 버블효과는 적어진다.”고 설명, 물기둥 없는 버블제트가 있었을 가능성도 시사했다. 이어 “물기둥이 위쪽으로 날 수도 있고 옆으로 날 수도 있고 수중의 깊이에 따라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고 했다.
이날 합조단의 조사 결과는 천안함 사건이 북한의 소행일 가능성이 높아진 것을 의미하기 때문에 주목된다.
김상연기자 carlos@seoul.co.kr
2010-04-26 1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