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주 공공기관장 인선 급류 탈 듯

이번주 공공기관장 인선 급류 탈 듯

입력 2013-11-11 00:00
업데이트 2013-11-11 00:1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朴대통령 귀국·국감 마무리…靑 “절차따라 차근차근 진행”

그동안 ‘늑장’ 논란이 끊이지 않았던 공공기관장 인사가 속도를 낼지 주목된다.

새 정부 출범 이후 지금까지 새 기관장 선임 속도가 기존 기관장 퇴임 시점을 따라잡지 못하면서 ‘인사 공백’ 상태가 계속돼 왔다. 기관장이 공석 상태이거나 임기가 종료된 기관장이 한시적으로 업무를 계속하고 있는 공공기관만 10일 현재 30곳에 육박하고 있다. 전체 공공기관 295곳의 10% 정도가 ‘비정상’ 상태인 셈이다.

그러나 박근혜 대통령이 서유럽 순방을 마치고 귀국한 데다 공공기관 등에 대한 국회 국정감사도 마무리된 만큼 이번 주부터는 기관장 인선 작업이 본격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와 관련, 한 청와대 관계자는 “인선 작업이 절차와 규정에 따라서 차근차근 진행되고 있다. 지금까지도 그랬고 앞으로도 마찬가지”라면서 “다만 청와대에서 발표할 사안은 아니라고 본다”고 밝혔다.

공공기관장 인선 작업이 급물살을 탈 경우 인선 대상에 관심이 쏠릴 것으로 전망된다.

지난 대선 당시 기여도 등을 반영한 ‘논공행상’식 인사로 흐를 경우 여론의 역풍이 우려된다. 특히 공기업에서 민간기업으로 바뀐 KT와 포스코 등 ‘민영화 공기업’의 수장들이 임기와 상관없이 거취 논란에 휩싸인 상황에서 낙하산 인사가 후임으로 거론될 경우 인사 논란이 확산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반대로 새누리당을 비롯한 여권 내부의 인사 불만을 일정 부분 잠재우지 못한다면 당·청 관계가 악화되는 계기가 될 수도 있다.

장세훈 기자 shjang@seoul.co.kr

2013-11-11 4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