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s-20180427-1010-43-70 2018 남북정상회담이열린 27일 오전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판문점에서 만나 인사를 나누고 있다. 2018. 04. 27 안주영 기자 jya@seoul.co.kr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ss-20180427-1010-43-70
2018 남북정상회담이열린 27일 오전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판문점에서 만나 인사를 나누고 있다. 2018. 04. 27 안주영 기자 jya@seoul.co.kr
문재인 대통령은 이날 오전 판문점 MDL 위에서 정상회담을 위해 남쪽으로 내려온 김 위원장을 반갑게 맞이했다.
오전 9시 28분 판문점 북측지역인 판문각에서 모습을 드러낸 김 위원장은 직접 걸어서 계단을 내려와 MDL에 걸쳐 있는 군사정전위원회 회의실인 T2와 T3 사이를 통해 남쪽으로 이동했다.
이 곳에서 기다리던 문 대통령과 김 위원장은 서로를 마주하고 환하게 웃으며 잠시 대화를 나눈 뒤 9시 29분 손을 맞잡았다.
두 정상이 나란히 서있는 모습이 생중계되면서 이들의 ‘나이 차’에 관심이 모였다. 김정은 위원장의 나이는 1912년생인 김일성과 1942년생인 김정일의 출생연도 끝자리를 맞춰 1982년생이라고 밝혔으나 이후 통일부와 국정원에서는 김정은의 유학시절 여권 등을 근거로 1984년생이라고 결론 내렸다.
1984년생으로 알려진 김 위원장은 올해 35세다. 1953년생인 문 대통령과는 31세 차이가 난다. 김 위원장은 1982년생인 문 대통령의 아들 준용씨보다도 2세 어리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정부가 실손의료보험 개편을 본격 추진하면서 보험료 인상과 의료비 통제 문제를 둘러싼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비급여 진료비 관리 강화와 5세대 실손보험 도입을 핵심으로 한 개편안은 과잉 의료 이용을 막고 보험 시스템의 지속 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한 조치로 평가된다. 하지만 의료계와 시민사회를 중심으로 국민 재산권 침해와 의료 선택권 제한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