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4년 예비접촉 김용순 비서…DJ 조문땐 김양건 통전부장
남북 당국회담 무산 이후 북측 수석대표의 ‘급’과 조국평화통일위원회(조평통)의 위상을 둘러싼 논란이 계속되고 있다. 북측은 당국회담 수석대표로 내세운 강지영 조평통 서기국장에 대해 장관급이라고 주장한 반면, 우리 측은 차관급에도 못 미치는 수준이라고 평가절하했다. 조평통에 대해서도 북측은 “북남관계를 주관하고 통일사업을 전담하는 공식기관”이라고 주장하지만, 남측은 당 공식조직인 통일전선부의 외곽 사회단체쯤으로 보고 있다.1990년대부터 최근까지 남북 접촉 과정을 돌이켜 보면 남측은 대부분 통일부(또는 통일원)가 창구였다. 2007년 남북정상회담을 위한 특사로 김만복 당시 국정원장이 나섰던 정도가 예외에 해당한다. 반면 북측은 들쭉날쭉했다.
2007년 8월 이관세 당시 통일부 차관은 최승철 당시 통전부 부부장과 개성에서 남북정상회담 준비접촉을 가졌다. 통일부와 통전부가 카운터파트였다. 김양건 통전부장도 2009년 8월 말 고 김대중 전 대통령 조문을 위해 서울을 방문했을 때 현인택 당시 통일부 장관과 개별 면담했다. ‘통일부장관의 상대는 통전부장’이란 우리 측 주장과 궤를 같이한다.
이보다 훨씬 앞서 김영삼 정부 때인 1994년에도 정상회담 예비접촉 수석대표로 이홍구 당시 부총리 겸 통일원 장관과 김용순 대남담당 비서가 합의서에 서명했다. 정부는 김 비서가 통일전선부장을 겸직하고 있었던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물론 실제로는 통전부보다 조평통이 전면에 나선 경우가 더 많다. 2000년부터 2007년까지 21차례 계속된 남북 장관급회담의 북측 대표인 전금진, 김령성, 권호웅의 공식 직함은 ‘내각 책임참사’였다.
정성장 세종연구소 수석연구위원은 “이전 정부 때의 남북대화를 머릿속에서 지워버려 아마추어처럼 대북 협상을 할 것이 아니라 과거 남북대화 경험을 되살려 보다 성숙한 남북대화를 추진해야 한다”고 말했다.
임일영 기자 argus@seoul.co.kr
2013-06-15 3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