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주중 열릴 것으로 예상되는 북한 노동당 대표자회의 관건은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후계자로 알려진 셋째아들 김정은의 공개 여부다. 김정은은 아직까지 공식 석상에 모습을 드러내지 않았다. 김 위원장의 지난달 말 방중에서도 김정은의 수행 여부는 확인되지 않았다. 이에 따라 이번 당 대표자회에서 김정은이 당중앙위원회 정치국 또는 비서국의 직책을 받아 후계자로 공식화될 것인지 주목되고 있다.
정부 고위관계자는 지난 3일 제주도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북한의 당 대표자회에 대해 “44년 만에 열리는 자체가 중요성과 의미를 가지고 있다.”며 “당대표자회에서 작은 것이 나오면 그 나름대로, 중요한 것이 나오면 그 나름대로 남북관계에 일정 부분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정부도 아주 면밀히 지켜보고 있다.”고 말했다.
김 위원장은 김일성종합대학을 졸업한 뒤 1964년부터 당 조직에서 일했으며 32세 때인 1974년 2월 당 중앙위 제5기 제8차 전원회의에서 당 정치위 위원으로 선출되면서 김일성 주석의 후계자로 내정됐다. 그러나 김 위원장의 선출은 외부로 알려지지 않았다. 그는 그러다가 1980년 제6차 당대회에서 당 중앙위 정치국 상무위원, 비서국 비서 등의 직책을 받으면서 공식 후계자로 등장하게 됐다. 16년이라는 시간이 걸린 셈이다.
이 때문에 김정은의 후계 공식화도 이번 당 대표자회에서 공개되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정부는 그가 정치국 위원으로 선출될 가능성이 높지만 공개적으로 발표되지 않을 가능성도 있는 것으로 보고 선출 및 공개 여부를 예의주시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김정은의 당 직책 선출이 이뤄져 공개될 경우 그만큼 김 위원장의 후계구도가 급박하게 돌아가고 있음을 알려주는 근거가 될 것으로 보인다. 20대 후반인 김정은이 당의 요직을 맡고, 장성택 국방위 부위원장이 당 정치국 상무위원으로 선출되면 후계 구축에 박차를 가하게 될 것이기 때문이다.
대북 소식통은 “김 위원장의 건강 문제와 경제난 등은 김정은으로의 후계 구축을 서두를 만한 이유가 될 수 있다.”며 “그러나 그동안 드러나지 않았던 인물인 김 위원장의 ‘어린 아들’ 김정은의 후계자 공식화가 인민들의 저항 없이 안착할 수 있을지는 미지수”라고 말했다.
김미경기자 chaplin7@seoul.co.kr
조선중앙TV는 지난 4일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의 중국 방문(지난달 26~30일)과 관련한 기록영화를 방영했다. 사진은 김(앞줄 왼쪽) 위원장이 지난달 27일 후진타오 중국 국가주석과 함께 공연을 관람하며 박수를 치고 있는 모습.
연합뉴스
연합뉴스
정부 고위관계자는 지난 3일 제주도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북한의 당 대표자회에 대해 “44년 만에 열리는 자체가 중요성과 의미를 가지고 있다.”며 “당대표자회에서 작은 것이 나오면 그 나름대로, 중요한 것이 나오면 그 나름대로 남북관계에 일정 부분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정부도 아주 면밀히 지켜보고 있다.”고 말했다.
김 위원장은 김일성종합대학을 졸업한 뒤 1964년부터 당 조직에서 일했으며 32세 때인 1974년 2월 당 중앙위 제5기 제8차 전원회의에서 당 정치위 위원으로 선출되면서 김일성 주석의 후계자로 내정됐다. 그러나 김 위원장의 선출은 외부로 알려지지 않았다. 그는 그러다가 1980년 제6차 당대회에서 당 중앙위 정치국 상무위원, 비서국 비서 등의 직책을 받으면서 공식 후계자로 등장하게 됐다. 16년이라는 시간이 걸린 셈이다.
이 때문에 김정은의 후계 공식화도 이번 당 대표자회에서 공개되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정부는 그가 정치국 위원으로 선출될 가능성이 높지만 공개적으로 발표되지 않을 가능성도 있는 것으로 보고 선출 및 공개 여부를 예의주시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김정은의 당 직책 선출이 이뤄져 공개될 경우 그만큼 김 위원장의 후계구도가 급박하게 돌아가고 있음을 알려주는 근거가 될 것으로 보인다. 20대 후반인 김정은이 당의 요직을 맡고, 장성택 국방위 부위원장이 당 정치국 상무위원으로 선출되면 후계 구축에 박차를 가하게 될 것이기 때문이다.
대북 소식통은 “김 위원장의 건강 문제와 경제난 등은 김정은으로의 후계 구축을 서두를 만한 이유가 될 수 있다.”며 “그러나 그동안 드러나지 않았던 인물인 김 위원장의 ‘어린 아들’ 김정은의 후계자 공식화가 인민들의 저항 없이 안착할 수 있을지는 미지수”라고 말했다.
김미경기자 chaplin7@seoul.co.kr
2010-09-06 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