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권여당인 한나라당이 6.2 지방선거에서 고전을 면치 못해 ‘지방선거는 여당의 무덤’이라는 속설이 재확인됐다.
한나라당은 선거 직전까지만 해도 각종 여론조사상 수치를 근거로 수도권 ‘빅3’의 수성을 비롯한 ‘완승’을 자신했었다.
하지만 집권 3년차를 맞은 이명박 정부의 경제살리기 동력 극대화,중앙.지방 권력의 유기적 소통,천안함 사태로 불거진 안보위기 극복 등을 내건 집권여당의 한 표 호소는 공염불이 됐다.
오히려 이번 지방선거에서 확인된 민심의 키워드는 ‘견제’였다고 할 수 있다.50%에 달하는 이명박 대통령의 높은 국정지지도에도 민심은 현 정권에 ‘좀 더 몸을 낮추라’는 지상명령을 내린 셈이다.
지방선거를 통한 국민의 ‘정권 견제’는 앞서 두 차례의 지방선거에서도 반복됐다.
김대중 정권 말기에 치러진 2002년 6.13 지방선거에서 야당이었던 한나라당이 광역단체장 선거에서 수도권 3곳을 포함해 11개 지역을 석권,여당인 민주당은 참패를 면치 못했다.
대통령 아들 문제를 비롯한 권력형 비리의혹 심판론에 국민 정서가 움직인 결과다.
또한 노무현 정권 한복판에 치러진 2006년 5.31 지방선거에서도 여당인 열린우리당은 참혹한 성적표를 받아들어야 했다.야당인 한나라당이 12곳을 차지한 반면,열린우리당은 전북 한 곳에서만 승리한 것.
권력형 비리를 비롯한 대형 사건.사고가 아닌 노 전 대통령과 여권 전반에 대한 누적된 불만과 불신으로 초래됐다는 게 대체적 견해다.
다만 지난 98년 6.4 지방선거에서는 갓 탄생한 정권에 대한 기대감 때문에 공동여당이었던 국민회의와 자민련이 수도권 3곳을 포함해 10개 지역에서 승리하는 결과를 낳기도 했었다.
정치권의 한 관계자는 “정권을 이끌어가는 여당은 끊임없는 견제를 받는 만큼 임기 중간에 치러지는 전국단위 선거,특히 중앙과 지방 권력의 균형을 맞추는 지방선거에서는 여당이 불리하기 마련”이라며 “이번 지방선거는 현 여권의 국정운영 방식에 대한 경고”라고 말했다.
연합뉴스
한나라당은 선거 직전까지만 해도 각종 여론조사상 수치를 근거로 수도권 ‘빅3’의 수성을 비롯한 ‘완승’을 자신했었다.
하지만 집권 3년차를 맞은 이명박 정부의 경제살리기 동력 극대화,중앙.지방 권력의 유기적 소통,천안함 사태로 불거진 안보위기 극복 등을 내건 집권여당의 한 표 호소는 공염불이 됐다.
오히려 이번 지방선거에서 확인된 민심의 키워드는 ‘견제’였다고 할 수 있다.50%에 달하는 이명박 대통령의 높은 국정지지도에도 민심은 현 정권에 ‘좀 더 몸을 낮추라’는 지상명령을 내린 셈이다.
지방선거를 통한 국민의 ‘정권 견제’는 앞서 두 차례의 지방선거에서도 반복됐다.
김대중 정권 말기에 치러진 2002년 6.13 지방선거에서 야당이었던 한나라당이 광역단체장 선거에서 수도권 3곳을 포함해 11개 지역을 석권,여당인 민주당은 참패를 면치 못했다.
대통령 아들 문제를 비롯한 권력형 비리의혹 심판론에 국민 정서가 움직인 결과다.
또한 노무현 정권 한복판에 치러진 2006년 5.31 지방선거에서도 여당인 열린우리당은 참혹한 성적표를 받아들어야 했다.야당인 한나라당이 12곳을 차지한 반면,열린우리당은 전북 한 곳에서만 승리한 것.
권력형 비리를 비롯한 대형 사건.사고가 아닌 노 전 대통령과 여권 전반에 대한 누적된 불만과 불신으로 초래됐다는 게 대체적 견해다.
다만 지난 98년 6.4 지방선거에서는 갓 탄생한 정권에 대한 기대감 때문에 공동여당이었던 국민회의와 자민련이 수도권 3곳을 포함해 10개 지역에서 승리하는 결과를 낳기도 했었다.
정치권의 한 관계자는 “정권을 이끌어가는 여당은 끊임없는 견제를 받는 만큼 임기 중간에 치러지는 전국단위 선거,특히 중앙과 지방 권력의 균형을 맞추는 지방선거에서는 여당이 불리하기 마련”이라며 “이번 지방선거는 현 여권의 국정운영 방식에 대한 경고”라고 말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