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셈 솔레이마니 이란 쿠드스군 사령관이 미군의 드론 공습으로 사망하면서 우리 군이 보유한 무인공격기에도 관심이 쏠린다. 일각에서는 미중러 등 각국이 무인공격기를 도입하며 변화된 전장을 준비하고 있지만 한국은 여전히 제자리걸음을 하고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주한미군이 보유하고 있는 무인공격기 MQ1C ‘그레이이글’. 연합뉴스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주한미군이 보유하고 있는 무인공격기 MQ1C ‘그레이이글’. 연합뉴스
●미군 2017년 ‘그레이이글’ 12대 들여와
7일 군 당국에 따르면 한국은 무인정찰기는 다수 확보 및 개발하고 있지만 무인공격기는 주한미군 자산에 의존하는 상황이다. 우리 군은 군단급 정찰용 무인항공기 ‘송골매’(RQ101)와 ‘헤론’, 대대급 정찰용 ‘리모아이’ 등 다수의 무인정찰기를 운용하고 있다. 또 고고도무인정찰기 ‘글로벌호크’(RQ4) 4대도 도입해 곧 실전배치에 나설 계획이다.
그러나 미군이 솔레이마니를 암살할 때 사용한 리퍼(MQ9)와 같은 무인공격기는 보유하고 있지 않다. 대신 주한미군이 보유한 무인공격기 자산에 의존하고 있다. 주한미군은 2017년 ‘그레이이글’(MQ1C) 12대를 전북 군산기지로 들여온 뒤 2018년 2월 해당 중대를 창설해 운용하고 있다.
이미지 확대
공군이 보유한 레이더 자폭공격용 무인항공기 ‘하피’. IAI 제공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공군이 보유한 레이더 자폭공격용 무인항공기 ‘하피’. IAI 제공
●육군·공군 조직 이기주의에 경쟁 뒤져
그나마 우리 군이 가진 무인기 중 공격 기능을 가진 무인기는 이스라엘에서 도입한 ‘하피’가 유일하다. 하지만 하피는 레이더 전파를 탐지하고 레이더를 향해 자폭하는 형태로 소형 표적을 세밀하게 타격할 수 있는 무인공격기와는 개념이 다르다. 한국이 무인공격기 경쟁에서 뒤진 가장 큰 이유는 여전히 조직 이기주의에 빠져 있기 때문이라는 지적이 많다. 류성엽 21세기군사연구소 전문연구위원은 “한국의 경우 육군은 공군의 임무와 기능을 빼앗기 위해 필요한 명분을 획득하려는 수단으로 무인기를 활용하려 하고, 공군은 무인기의 중요성을 알고 있음에도 무인기 도입이 조종사의 보직 감소로 이어질 것을 걱정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주원 기자 starjuwon@seoul.co.kr
2020-01-08 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정부가 실손의료보험 개편을 본격 추진하면서 보험료 인상과 의료비 통제 문제를 둘러싼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비급여 진료비 관리 강화와 5세대 실손보험 도입을 핵심으로 한 개편안은 과잉 의료 이용을 막고 보험 시스템의 지속 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한 조치로 평가된다. 하지만 의료계와 시민사회를 중심으로 국민 재산권 침해와 의료 선택권 제한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