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일외교 산 증인’ 무토, ‘한일대립의 진상’ 발간”한국, 국교정상화 이후 역사 무시”
’한일외교의 산 증인’인 무토 마사토시(66·武藤正敏) 전(前) 주한 일본대사가 군위안부 문제를 축소하려 하지 말고, 정면으로 마주해 문제를 해결할 것을 자국 정부에 주문했다.무토 전 대사는 최근 발간한 저서 ‘일한대립의 진상’(고쿠<悟空>출판·252쪽)에서 이 같은 주장을 폈다. 그는 군위안부 문제와 관련한 한국 정부 및 시민단체의 대응을 비판하면서도 국제사회의 여론 흐름을 아는 전직 외교관의 시선으로 자국 정부에 ‘현실주의적’ 대응을 촉구했다.
그는 “일본이 위안부 문제를 왜소화하려고 하면 할수록 오히려 국제사회로부터 반발을 사고 말 것”이라며 “한국은 일본을 변화시킬 목적으로 문제 의식을 세계에 확산시키려 하기 때문에, 일본도 같이 국제사회가 이해할 수 있는 논리로 대응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무토는 이어 “일본 정부도 국가가 일으킨 전쟁의 피해자인 전(前) 위안부들이 지금까지 당한 필설로 다하기 어려운 고통을 인식하고, 다시 진지하게 이 문제에 마주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그것을 바탕으로 전 위안부에게 일본의 성의를 보여주는 조치를 강구해 국제사회에 알려야 한다”면서 군위안부 피해자들에 대한 사실상의 보상금 지급을 위해 1990년대 설립됐던 아시아여성기금을 보완하는 형태의 방책을 예시했다.
무토는 “단순히 한국과의 관계만이 아니라 (중략) 세계에서 가장 진전된 민주주의 국가의 하나로서 신뢰를 얻기 위해서도 일본의 따뜻한 마음을 보여주는 것이 중요하고, 그것이 일본에도 이익이 되지 않을까”라고 반문했다.
무토는 이와 함께 “일본은 군위안부 관련 강제성에 집착하지 않는 것이 좋다”며 강제연행 부정에 열을 올리는 아베 정권에 방향전환을 촉구했다.
그는 “외무성과 주한 일본대사관에서 오랫동안 한국과의 외교에 관여했지만 이제까지 강제성을 확인할 수 있는 구체적인 자료를 본 적이 없다”고 밝히면서도 “군인에 의한 강제연행을 (일본 정부나 군이) 자료로서 남길 것으로 생각되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또 군위안부 피해자들의 증언에 모순점이 있다는 주장에 대해서도 “실제 체험한지 50∼60년 정도 경과해서 기억이 부정확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고의로 증언을 위조했다’고 하는 것은 극히 일부 경우를 제외하고는 적절하지 않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무토는 한국 측에도 비판의 화살을 날렸다. 특히 경제성장 과정에서 일본의 기여 등 1965년 한일 국교정상화 이후의 역사를 한국 측이 무시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하지만 그는 “(한일관계의) 현실을 우려하지만 비관하지는 않는다”고 밝힌 뒤 “현재의 일한관계는 한국인의 ‘반일’을 달래는 것뿐 아니라, 일본인의 ‘혐한’을 억제하지 않으면 안 된다”며 쌍방의 노력을 촉구했다.
1972년 요코하마(橫浜) 국립대 졸업 후 외무성에 입부한 무토 전 대사는 외무성 북동아시아과 과장, 주한일본대사관 참사관·공사 등을 거쳐 2010년 9월부터 2012년 10월까지 주한 일본대사를 지냈다.
대사 시절 2011년 동일본대지진 피해지역을 위한 한국인의 적극적인 모금 활동으로 양국관계가 부드러웠던 때와 2012년 8월 이명박 당시 대통령의 독도 방문 이후 갈등 국면이 심화했을 때 등 한일외교의 ‘냉탕과 온탕’을 ‘최일선’에서 경험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