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AIIB 참여때 득실은
17일 기획재정부 고위 관계자는 “AIIB 가입에 대한 정부의 공식적인 입장을 아직 정하지 못했다”면서 “하지만 이달 말까지 가입하지 않으면 창립 회원국으로서의 이익을 누릴 수 없어 다양한 방향에서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중국은 미국의 입김이 거센 세계은행(WB)과 국제통화기금(IMF)에 맞설 신개발은행(NDB)과 긴급외환보유액지원기금(CRA) 설립도 추진하고 있다.
미국의 눈치를 봐야 하지만 AIIB 가입이 한국 경제에 가져다줄 열매는 달다. 아시아개발은행(ADB)에 따르면 2020년까지 아시아 지역의 인프라 건설 수요는 연간 8000억 달러(약 900조원)에 달한다. AIIB에 가입하면 국내 건설사들이 아시아 개발도상국 인프라 건설에 주도적으로 참여할 수 있다. 해외건설 수주로 침체된 국내 건설 경기의 돌파구를 마련할 수 있는 셈이다.
중국은 창립 회원국 자격으로 가입할 수 있는 기한을 이달 말까지로 제시했다. 정부는 미국의 반발을 완화하기 위해 4월 이후 가입하는 방안도 검토 중이지만 손실이 만만찮다. 국내 건설사에 더 많은 일감을 주기 위해서는 창립 회원국 지위를 얻는 편이 유리하기 때문이다. 설립 초기 회의에 참여해야만 우리에게 유리한 방향으로 기구 운영 방향을 이끌 수 있다.
‘본전’ 생각도 해야 한다. 기재부는 전 세계 개발도상국에 도로, 다리 등을 지어주는 공적개발원조(ODA) 사업을 하고 있다. 2008~2012년에 57억 1400만 달러를 투입했다. 개발도상국의 경제 발전이 최우선 목표지만 우리 건설사의 해외 진출 경험과 노하우를 살려 원조 국가에서 추가로 공사를 따내는 효과도 무시할 수 없다. 기재부 관계자는 “아무래도 AIIB 의사결정 구조에서 한국이 빠지면 ODA 사업으로 아시아 개발도상국에서 쌓아 놓은 공든 탑이 무너질 수 있다”고 우려했다.
세종 장은석 기자 esjang@seoul.co.kr
2015-03-18 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