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안장애’는 2천158명’공황장애’는 3년간 증가추세국군의무사령부 2011~2013년 국내 첫 ‘불안장애’ 조사
’28사단 윤 일병 폭행 사망사건’의 충격이 계속되는 가운데 2011년부터 2013년까지 3년간 현역 군인 2천158명이 대표적 정신질환인 ‘불안장애’로 군 병원에서 진료를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윤모 일병 폭행·사망 사건을 계기로 병영문화 개선의 목소리가 커진 5일 경기 의정부시 용현동 306보충대로 입영하는 아들을 배웅하는 부모들의 표정이 불안해 보인다. 아들은 나라를 지키러 가지만 부모는 아들을 지키고 싶은 심정이 역력하다.
손형준 기자 boltagoo@seoul.co.kr
손형준 기자 boltagoo@seoul.co.kr
6일 국군의무사령부가 최근 내놓은 ‘한국 군 장병에서의 불안장애 발생률’ 보고서에 따르면 국방의료통계정보체계를 이용해 2011년 1월부터 2013년 12월까지 3년간 국내 19개 군 병원에서 정신 및 행동장애에 속하는 진단으로 외래치료를 받은 현역 군인을 집계한 결과, 모두 1만9천66명의 신규환자가 발생해 6만6천481건의 진료가 이뤄진 것으로 분석됐다. 이는 우리나라 전체 군인을 65만명으로 봤을 때 약 3%에 달하는 수치다.
우리나라 군 장병을 대상으로 불안장애 실태를 조명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이중 불안과 공포로 일상생활에 어려움을 겪는 ‘불안장애’ 진단을 받은 신규 환자는 2천255명이었고, 이들의 총 진료건수는 8천532건에 달했다. 불안장애 군인 1명당 3.3회가량 병원을 이용한 셈이다. 이중 불안장애를 전문적으로 다루는 정신건강의학과에서 질환을 진단받은 초진 환자와 진료건수는 각각 1천913명(88.6%), 7천870건(95.6%)으로 집계됐다.
정신건강의학과에서 불안장애 진단을 받은 현역군인을 육해공군으로 나눠보면 육군이 1천547명(6천426건)으로 대다수를 차지했고, 해군(각 203명, 799건), 공군(각 127명, 548건) 등의 순이었다. 신분별로는 병사가 1천650명(86.3%), 6천833건(86.8%)으로 압도적이었다.
불안장애를 세부 질환별로 보면 ‘원인불명의 불안장애’가 649명(33.9%), 2천544건(32.3%)으로 가장 많았고, ‘공황장애’가 각각 348명(18.2%), 1천487건(18.9%)으로 두 번째에 해당됐다. 다음으로는 스트레스관련 불안장애 298명(15.6%), 강박장애 236명(12.3%), 사회불안장애(156명, 8.2%) 등의 순이었다. 이밖에 특정공포증, 범불안장애, 혼재성 불안-우울장애 환자들도 있었다.
연도별 불안장애 발생률(10만명당)은 2011년 115.7명에서 2012년 118.8명으로 높아졌다가 2013년에는 93.9명으로 크게 줄었다. 이같은 경향은 육·해·공군 모두에서 관찰됐는데, 특히 육군에서는 2012년 10만 명당 123.9명으로 최고치에 달했던 불안장애 비율이 2013년에는 98.7명으로 큰 폭의 하락세를 보였다. 해군 장교는 3년 사이 불안장애 발생률이 높아진 유일한 그룹으로 분류됐다.
하지만 이런 가운데서도 공황장애는 유독 증가세를 보였다. 공황장애란 예상치 못한 상황에서 갑작스럽게 극심한 공포나 불안이 밀려드는 것으로 심장이 빠르게 뛰고 진땀이 나고 몸이 떨리고 숨이 막힐 것 같은 증상이 나타난다. 공황장애 장병은 2011년 10만 명당 16.1명에서 2012년 20.6명, 2013년 23명으로 꾸준히 늘었다.
의료진은 2011년 보건복지부에서 실시한 정신건강실태조사의 국내 공황장애 1년 유병률 0.2%, 남성 유병률 0%와 비교할 때 큰 차이를 나타내는 것이라고 평가했다.
의료진은 “공황장애가 군에서 더 호발하는 불안장애 유형일 가능성이 제기된다”며 “이 부분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의료진은 이번 연구결과에 대해 “불안증세를 신체적 증상 호소로 표현하는 경우가 많은 것을 감안하면, 실제 타과를 방문하는 불안장애 환자는 더 많을 것으로 추정돼 이에 대한 관심이 필요하다”고 진단했다.
또 “치료를 받지 않거나 사단급 의무시설에서 일차적으로 진료가 치료 종결된 환자도 많을 수 있다는 점에서 군에서도 정신건강 실태조사와 같은 전향적인 연구의 필요성이 있다”고 강조했다.
연구에 참여한 채정호 서울성모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는 “정신과적 질환으로 치료받는 것을 터부시하는 사회현상이 군대에도 그대로 반영돼 있는 게 현실”이라며 “군 장병들한테 불안장애 증상이 생기거나 이 증상이 다른 이상 행동으로 악화되는 것을 막기 위해서는 스스로 군 생활을 잘 마친 군인들에 대한 국가차원의 배려와 같은 사기 진작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