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바마-시진핑 7일 정상회담서 ‘탈북자 문제’ 논의

오바마-시진핑 7일 정상회담서 ‘탈북자 문제’ 논의

입력 2013-06-02 00:00
업데이트 2013-06-02 16:0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라오스 강제북송 사건 계기 미·중 협의결과 주목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간의 첫 정상회담에서 중국 내 탈북자 강제 북송 문제가 논의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2일 알려졌다.

정부 안팎에서는 라오스에서 체포된 탈북청소년 9명의 중국을 통한 강제 북송 사건을 계기로 오는 7일(현지시간) 미국에서 열릴 이번 미·중 정상회담에서 탈북자 문제가 어떤 식으로든 거론될 것이라는 관측이 제기되고 있다.

미국 정부는 그동안 탈북자들의 강제 송환에 반대한다는 입장을 여러 경로를 통해 표명해 왔다.

오바마 대통령은 이번 정상회담의 공식 의제는 아니더라도 시 주석을 비롯한 중국 지도부에 탈북자들의 강제 북송 자제 및 인도적 처리 희망과 관련한 메시지를 전달할 것으로 알려졌다.

실제로 미국 행정부와 의회는 이번 탈북청소년 9명의 강제 북송 사건에 각별한 관심을 표명하고 있다.

미 국무부는 지난달 31일 대변인 브리핑을 통해 “국무부는 이들 청소년의 안전을 매우 염려하고 상황을 아주 면밀히 지켜보고 있다”면서 탈북자들이 머무르는 지역 내 다른 국가들에게도 탈북자 보호를 요청했다.

에드 로이스 미 하원 외교위원장도 시 주석에게 최근 서한을 보내 “중국 정부가 미국 등과 긴밀히 협조해 강제 송환의 대안을 찾길 강력히 촉구한다”고 밝혔다.

이에 앞서 힐러리 클린턴 전 국무장관은 지난해 3월 한미 외교장관회담에서 “탈북난민 처우 문제는 한국, 중국과 계속 논의하는 사안”이라며 “난민들이 송환돼 그들이 탈출했던 위험에 또다시 처하는 일이 생기지 않도록 해야 한다”고 공개적으로 강조했다.

클린턴 장관은 글린 데이비스 대북정책 특별대표가 중국을 방문 때에도 중국 고위 당국자에게 탈북자에 대한 우려를 제기했다면서 중국 측에 미국의 이런 입장을 전달해 오고 있음을 설명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