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여연대 대선 토론회
18대 대통령 선거 패배에 대한 진보 진영의 자성이 이어지고 있다. 구태 정치 반복과 차별성 획득 실패 등 다양한 지적이 나왔다. “유권자의 피부에 와 닿는 현실 정치에 실패했다.”는 분석이 공통적으로 제기됐다.21일 참여연대 주최로 서울 종로구 통인동 참여연대에서 열린 ‘18대 대선의 의미와 한국 사회 변동’ 좌담회에서 강원택 서울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는 “민주화 이후 진보가 강조해 온 인권과 평화, 자유의 효용성이 한계에 도달했다.”면서 “진보가 새롭게 내놓을 수 있는 상품에 대한 본질적 고민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이태호 참여연대 사무처장도 “박근혜 대통령 당선인이 제2의 ‘잘 살아보세’ 담론을 통해 경제난에 빠진 유권자들의 마음을 어느 정도 붙잡는 데 성공한 반면 문재인 전 민주통합당 대선 후보는 ‘사람이 먼저다’라는 구호에 그쳤다.”고 말했다. 김윤철 경희대 후마니타스칼리지 교수는 “이정희 전 통합진보당 대선 후보의 TV 토론에서 보듯 진보는 차별성과 실력을 갖추지 못한 채 독설과 퇴행적 언어만 구사했다.”면서 “박 당선인이 박정희 전 대통령의 딸이라는 것을 모르는 유권자가 없었는데도 이 부분에만 집착하는 데 그쳤다.”고 분석했다.
50대와 경기, 인천 유권자의 표심을 획득하는 데 실패한 것은 민주당의 무능함을 보여주는 단적인 사례로 꼽혔다. 한귀영 한겨레사회정책연구소 연구위원은 “노후 불안과 주택, 자녀 문제 등 50대가 느끼는 위기감을 해결해 줄 수 있는 구체적인 접근이 없었다.”면서 “수도권에서 밀려난 야권 성향의 유권자가 많은 곳이 경기, 인천 지역인데 민주당은 아무런 대응을 하지 않았다. 왕이 아니라 지역 영주가 되는 것에 머물렀다.”고 비판했다. 김 교수는 “40~50대의 표를 얻지 못한 것은 민주당이 동 세대와 괴리된 채 친노(친노무현), 386 집단에 머물고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일제히 ‘진보의 재구성’을 주문했다. 강 교수는 “20대의 보수화가 뚜렷이 나타난 데서 알 수 있듯이 젊은 층이 무조건 진보를 지지한다고 생각해서는 안 된다.”면서 “기존의 틀을 벗어난 진보의 재구성이 없다면 5년 뒤에도 이번 대선의 100만 표 차이는 넘어서기 어렵다.”고 말했다. 김 교수는 “20~30대를 동원하면 이길 수 있다는 생각은 허구”라면서 “국민들이 동의하지 않는 것을 자꾸 ‘중요하다’ ‘좋다’고 강요만 할 것이 아니라 이들의 선호를 반영하는 실용적인 현실 정치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배경헌기자 baenim@seoul.co.kr
2012-12-22 11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