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핵정국 ‘세한도’서 ‘약속’을 읽은 文, 공수처법 D데이 기증자 만난 까닭은?

탄핵정국 ‘세한도’서 ‘약속’을 읽은 文, 공수처법 D데이 기증자 만난 까닭은?

임일영 기자
임일영 기자
입력 2020-12-09 16:52
수정 2020-12-09 17:3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2대 걸쳐 문화유산 기부 손창근씨에게“코로나로 지친 국민들 큰 위로”

이미지 확대
문재인 대통령이 9일 세한도 기증자 손창근 옹을 청와대 본관 앞에서 맞이하고 있다. 2020. 12. 9 도준석 기자pado@seoul.co.kr
문재인 대통령이 9일 세한도 기증자 손창근 옹을 청와대 본관 앞에서 맞이하고 있다. 2020. 12. 9 도준석 기자pado@seoul.co.kr


“장무상망(長毋相忘·오래도록 서로 잊지 말자)은 어쩌면 우리가 잃어버렸던 정신이죠. 요즘 그 마음을 촛불에서 봅니다. 질서정연하면서도 자유롭고, 분노하면서도 결코 격조를 잃지 않는 저 거대하고 단아한 움직임. 저는 높은 소리나 과격하거나 급한 행동보다는 묵묵하고 꾸준하고 일관된 것들을 소중히 생각합니다. 우리가 생각하는 가치를 변치 않고 꾸준하고 묵묵하게 지켜가고 실천해가는 얼굴, 약속의 얼굴이 좋습니다. 세한도도 그런 그림이 아니겠습니까? (‘대한민국이 묻는다: 완전히 새로운 나라, 문재인이 답하다’ 중)”

추사 김정희(1786~1856)에 남다른 관심을 둔 문재인 대통령은 탄핵정국에 이어 대선을 앞둔 지난 2017년 1월, 세한도(歲寒圖·국보 180호)와 그림에 찍힌 인장 장무상망의 행간에서 이처럼 ‘촛불’과 ‘약속’을 읽어냈다.

“권력기관을 정치로부터 완전히 독립시키고, 어떤 기관도 무소불위의 권력을 행사할 수 없도록 견제장치를 만들겠다”는 취임사의 약속을 완성하기 위해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 출범을 희망한다고 밝혔던 문 대통령은 공수처법 개정안 처리가 예정된 9일 세한도를 국가에 기증한 미술품 소장가 손창근(91) 선생과 아들 내외를 만났다.

문 대통령은 “문화유산 보호 유공자들에게 드리는 문화훈장 가운데에서 최고 훈격인 금관 문화훈장을 손 선생님께 수여했지만, 그것만으로는 좀 부족하다고 생각했다”면서 “그래서 청와대에 초청해 따뜻한 차라도 대접을 하면서 국민들을 대표해서 감사를 드리고, 문화훈장 받으신 것에 대해 축하 말씀을 드리고 싶어서 모셨다”고 말했다. 또 “손 선생님의 숭고한 마음에 다시 한 번 깊이 감사드리고, 어려운 결단에 동의를 해 주신 가족분들께도 감사 말씀을 드린다”고 밝혔다.

이미지 확대
문재인 대통령이 세한도 기증자 손창근 옹(가운데)을 청와대로 초청해 세한도(복제품)를 배경으로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 왼쪽부터 기증자의 며느리 고두연씨, 아들 손성규 연세대 교수, 손 옹, 문 대통령, 김정숙 여사. 2020. 12. 9 도준석 기자pado@seoul.co.kr
문재인 대통령이 세한도 기증자 손창근 옹(가운데)을 청와대로 초청해 세한도(복제품)를 배경으로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 왼쪽부터 기증자의 며느리 고두연씨, 아들 손성규 연세대 교수, 손 옹, 문 대통령, 김정숙 여사. 2020. 12. 9 도준석 기자pado@seoul.co.kr


문 대통령은 “‘세한도’는 신문에서 ‘무가지보(無價之寶), 가격을 매길 수 없는 보물이다’라고 표현한 것을 봤는데 정말 공감이 되는 말”이라면서 “국보 중 서화류 가운데에서는 최고의 국보가 아닌가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어 “그림 자체가 추사 선생의 고고한 선비 정신과 기품이 아주 잘 표현돼 있다”면서 “제자인 이상적에게 주는 글에도 고마움을 절절하고 진정성 있게 표현을 했는데, 글씨도 추사체의 진수를 보여주는 명필이거니와 문장도 대단히 감동적이어서 최고의 명품이 됐다”고 평가했다.

그러면서 “‘세한’이라는 그 말이 공교롭게도 지금 코로나 때문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국민들의 상황을 그대로 표현해 주는 그런 말이기도 하다고 생각한다”면서 “‘세한도’는 코로나 때문에 지친 국민들께도 아주 큰 힘과 또 희망이 될 것이라고, 또 위로가 될 것이라고 믿는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차량과 담당 선임행정관을 보내 연로한 손 선생 가족이 이동할 때 불편함이 없도록 지원하는 한편 차량이 도착하는 본관 앞에 마중을 나가 환영하는 등 각별한 예우를 했다. 문 대통령의 부인 김정숙 여사는 손 선생에게 ‘장무상망’이라는 글귀가 담긴 자수천을 선물했다.

이미지 확대
문재인 대통령이 9일 세한도 기증자 손창근 옹을 청와대 본관 앞에서 맞이하고 있다. 손 옹 오른쪽은 며느리 고두연 씨. 2020. 12. 9 도준석 기자pado@seoul.co.kr
문재인 대통령이 9일 세한도 기증자 손창근 옹을 청와대 본관 앞에서 맞이하고 있다. 손 옹 오른쪽은 며느리 고두연 씨. 2020. 12. 9 도준석 기자pado@seoul.co.kr


세한도는 제주도에 유배 중인 김정희가 1844년 제자 이상적에게 선물한 작품이다. 추사는 논어의 ‘한겨울 추운 날씨가 된 다음에야 소나무와 측백나무가 시들지 않음을 알게 된다’(歲寒然後 知松柏之後凋)는 구절에서 세한도의 모티브를 얻었다.

아무도 자신을 거들떠보지 않고 피할 때, 통역관으로 중국을 오가며 구한 최신 서적을 목숨을 걸고 유배 중인 스승에게 보내준 제자의 의리에 대한 고마움, 그리고 죽고 싶을 만큼 외롭고 힘든 고난의 삶을 자화상처럼 풀어냈다. 원래는 덩그런 집 한 채와 나무 네 그루만을 표현한 단출한 그림이지만, 청나라 명사 16명에게 이상적이 받은 감상문을 비롯해 근현대의 오세창, 정인보, 이시영 등의 글이 붙어 10m가 넘는 두루마리 대작으로 변했다.

앞서 손 선생은 개성의 이름난 인삼무역 실업가인 선친 손세기 선생과 자신이 대를 이어 수집한 국보·보물급 문화재 304점을 2018년 국립중앙박물관에 기증한 데 이어 올 2월 ‘세한도’를 국가에 기증한 공로로 전날 문화훈장 중 최고 영예인 금관문화훈장을 받았다. 2004년 문화유산 분야 정부 포상 이래 금관문화훈장 수훈은 그가 처음이다.

임일영 기자 argus@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출산'은 곧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가
모델 문가비가 배우 정우성의 혼외자를 낳은 사실이 알려지면서 사회에 많은 충격을 안겼는데요. 이 두 사람은 앞으로도 결혼계획이 없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출산’은 바로 ‘결혼’으로 이어져야한다는 공식에 대한 갑론을박도 온라인상에서 이어지고 있습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떠신가요?
‘출산’은 곧 ‘결혼’이며 가정이 구성되어야 한다.
‘출산’이 꼭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 것은 아니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