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왕자씨 피격’ 땐 다음날 담화 발표
사진은 지난 24일 오후 인천 옹진군 연평도 인근 해상에 해양수산부 어업지도선 ‘무궁화 10호’가 정박해 있는 모습. 이 배를 타고 어업 지도 임무를 수행하던 공무원 A씨가 지난 21일 실종돼 다음 날인 지난 22일 북한군의 총격 등으로 사망한 사건이 논란이 되고 있다. 연합뉴스
조선중앙통신과 노동신문, 조선중앙방송, 대외선전매체 등 북한 매체에서는 25일 남측 공무원 피살 사건에 대해 일절 언급하지 않았다. 전날 청와대가 북한을 강력히 규탄하며 책임자를 처벌하라고 요구했지만, 묵묵부답이다.
노동신문에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유입 차단을 위한 ‘방역 장벽’을 강조하는 기사만 실렸을 뿐이다. 2008년 7월 금강산에서 발생한 ‘박왕자 피격 사건’ 땐 즉각 담화를 낸 것과 차이가 있다.
당시 북한은 박왕자씨 피격 사건이 발생한 다음 날인 7월 12일 명승지종합개발지도국 대변인 명의로 담화를 내고 “남조선 관광객이 우리 군인의 총에 맞아 사망하는 사고가 발생했다”며 “이에 대해 유감스럽게 생각한다”고 밝힌 바 있다.
금강산 지역 군부대 대변인 역시 다음 달인 8월 3일 특별 담화를 통해 “전투 근무 중이던 우리 군인은 날이 채 밝지 않은 이른 새벽의 시계상 제한으로 침입 대상이 어디서 나타났는지, 그가 남자인지 여자인지조차 식별할 수 없는 조건이었다”고 해명했다.
당시에는 우발적 사건의 성격이 컸기 때문에 거듭 ‘사고’라고 강조하며 신속히 수습하려 했으나 이번에는 실종 공무원 식별 후 해군 계통의 상부 지시를 받아 사살하고 시신을 불태웠다. 때문에 북측 대응에 온도차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곽혜진 기자 demian@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