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선교사 10대 아들, 미얀마서 ‘나 홀로’ 불법 체류자 신세

韓선교사 10대 아들, 미얀마서 ‘나 홀로’ 불법 체류자 신세

신성은 기자
입력 2020-01-30 09:13
수정 2020-01-30 09:1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불법 체류 벌금 납부할 경제형편 안돼…눈덩이처럼 불어나 1천만원

한국인 선교사 아버지와 미얀마인 어머니를 둔 10대 청소년이 미얀마에서 벌금 1천만원을 낼 형편이 안돼 11개월째 나 홀로 불법 체류자 신세가 됐다.

2004년 미얀마 수도 양곤 외곽에서 선교사인 한국인 아버지 김 모(57) 씨와 미얀마인 어머니(47) 사이에서 태어난 김요셉(16) 군.

2002년 9월 한국에서 다니던 교회에서 미얀마에 선교사로 온 아버지는 빈민촌에서 현지인 목사와 개척교회를 열어 탁아소를 운영하고 가난한 청년들을 위해 무상으로 직업훈련을 시키는 등 활발한 선교 활동을 했다.

그러다 간호사로 교회 일을 돕던 현지인 목사의 처제와 결혼, 요셉을 낳았다.

그러나 미얀마는 법적으로 국제결혼을 허용하지 않아 혼인신고를 할 수 없었다.

무호적상태였던 아들은 당연히 공립 초등학교에 갈 수 없게 돼 학비가 매우 저렴한 인도네시아 국제학교에 입학했다.

아버지 김 선교사는 “다만 혼인신고가 가능했던 한국에서는 부인과 아들은 가족으로 인정받을 수 있었다”며 “나중에 현지 브로커 도움을 받아 아내 미얀마 호적에 ‘혼외자’로 오른 아들은 어렵게 공립학교 4학년에 편입했지만 1년 후에는 공립학교 편입이 불법이라는 이유로 퇴학당했다”고 말했다.

때마침 한국의 한 다문화 대안학교에서 무상교육을 하고 기숙사까지 제공한다는 소식을 듣고 요셉을 한국으로 보내기로 결정했다.

2016년 3월 혼자 한국에 가서 다문화 대안학교에 들어간 아들은 제대로 적응을 하지 못했고 3개월 후 다시 미얀마로 돌아올 수밖에 없었다.

이후 김 선교사도 후원자의 경제적인 문제로 선교비용을 지원받지 못한 데다, 청력을 잃고 뇌졸중으로 쓰러지게 됐다. 더이상 봉사활동을 할 수 없었던 김 선교사는 지난해 3월 가족과 함께 한국으로 귀국하려 했다.

그렇지만 아들이 2016년 대안학교에 편입할 당시 한국여권으로 서울에 입국하면서 미얀마 재입국 이후 불법체류자가 됐고 벌금을 납부해야만 미얀마를 떠날 수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됐다.

경제적으로 어려움이 많았던 김 선교사는 아들을 남겨둔 채 아내와 딸만 데리고 귀국해야만 했다.

현재 아들은 4년가량 불법체류자 처지가 되면서 벌금도 눈덩이처럼 불어나 1천만원에 이르고 있다.

17년동안 미얀마 빈민촌에서 선교활동을 했던 김 선교사는 현재 국내에서 뇌졸중과 녹내장 등으로 수시로 병원 신세를 져야 하는 데다, 한국말을 잘 못하는 아내도 일자리가 없어 기초생활 보장 수급자로 지정돼 어려운 살림을 꾸려가고 있는 형편이다.

한국이주노동재단(이사장 안대환)은 최근 국민신문고에 이 같은 사연을 올리고 요셉 군의 조속한 귀국에 협조해줄 것을 호소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2 / 5
“도수치료 보장 안됩니다” 실손보험 개편안, 의료비 절감 해법인가 재산권 침해인가
정부가 실손의료보험 개편을 본격 추진하면서 보험료 인상과 의료비 통제 문제를 둘러싼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비급여 진료비 관리 강화와 5세대 실손보험 도입을 핵심으로 한 개편안은 과잉 의료 이용을 막고 보험 시스템의 지속 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한 조치로 평가된다. 하지만 의료계와 시민사회를 중심으로 국민 재산권 침해와 의료 선택권 제한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과잉진료를 막아 전체 보험가입자의 보험료를 절감할 수 있다.
기존보험 가입자의 재산권을 침해한 처사다.
2 / 5
2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