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이 17일 취임 100일을 맞아 ‘각본 없는 생중계’ 방식으로 기자회견을 한다.
●자유로운 질의응답… 소통 부각
취임 100일 기념 기자회견은 청와대 영빈관에서 이날 오전 11시부터 TV로 생중계된다. 청와대를 출입하는 내·외신 언론사 기자 300여명이 참석한다. 사전에 질문과 질문자를 정하지 않고 문 대통령과 취재진이 자유롭게 질의응답하는 형식으로 진행하면서 ‘소통하는 대통령’의 모습을 부각할 계획이다. 이전 정권과는 달라진 모습이다.
문 대통령은 기자회견에서 북한 핵·미사일 도발에 따른 한반도 위기 해결 방안을 비롯한 외교·안보 현안과 8·2 부동산 대책, 건강보험 보장성 강화를 골자로 한 ‘문재인 케어’, 초고소득 증세, 탈원전 정책 등 경제·사회 분야, 내년 개헌 방향 등 전 분야에서 국정운영 방향을 밝힐 것으로 보인다. 문 대통령이 인사 발표와 미국 방문 때 전용기 내에서 기자들과 질의응답을 하는 등 모두 4차례 기자들 앞에 섰지만 공식 기자회견을 하는 건 처음이다.
●朴 전 대통령만 100일 회견 안 해
역대 대통령은 취임 100일을 맞아 소회 등을 밝히는 기자회견을 해 왔다. 김영삼, 김대중, 노무현 전 대통령은 모두 취임 100일쯤 기자회견을 했다. 이명박 전 대통령은 미국산 소고기 수입 파동으로 취임 116일이던 2008년 6월 19일 특별 기자회견을 열었다.
그러나 박근혜 전 대통령은 취임 100일 기자회견을 하지 않은 유일한 대통령이었다. 당시 청와대는 박 전 대통령이 정치적인 이벤트를 선호하지 않는다는 이유로 기자회견을 열지 않았다. 청와대 안뜰인 녹지원에서 출입기자단과 오찬 간담회로 대신했다.
김진아 기자 jin@seoul.co.kr
●자유로운 질의응답… 소통 부각
취임 100일 기념 기자회견은 청와대 영빈관에서 이날 오전 11시부터 TV로 생중계된다. 청와대를 출입하는 내·외신 언론사 기자 300여명이 참석한다. 사전에 질문과 질문자를 정하지 않고 문 대통령과 취재진이 자유롭게 질의응답하는 형식으로 진행하면서 ‘소통하는 대통령’의 모습을 부각할 계획이다. 이전 정권과는 달라진 모습이다.
문 대통령은 기자회견에서 북한 핵·미사일 도발에 따른 한반도 위기 해결 방안을 비롯한 외교·안보 현안과 8·2 부동산 대책, 건강보험 보장성 강화를 골자로 한 ‘문재인 케어’, 초고소득 증세, 탈원전 정책 등 경제·사회 분야, 내년 개헌 방향 등 전 분야에서 국정운영 방향을 밝힐 것으로 보인다. 문 대통령이 인사 발표와 미국 방문 때 전용기 내에서 기자들과 질의응답을 하는 등 모두 4차례 기자들 앞에 섰지만 공식 기자회견을 하는 건 처음이다.
●朴 전 대통령만 100일 회견 안 해
역대 대통령은 취임 100일을 맞아 소회 등을 밝히는 기자회견을 해 왔다. 김영삼, 김대중, 노무현 전 대통령은 모두 취임 100일쯤 기자회견을 했다. 이명박 전 대통령은 미국산 소고기 수입 파동으로 취임 116일이던 2008년 6월 19일 특별 기자회견을 열었다.
그러나 박근혜 전 대통령은 취임 100일 기자회견을 하지 않은 유일한 대통령이었다. 당시 청와대는 박 전 대통령이 정치적인 이벤트를 선호하지 않는다는 이유로 기자회견을 열지 않았다. 청와대 안뜰인 녹지원에서 출입기자단과 오찬 간담회로 대신했다.
김진아 기자 jin@seoul.co.kr
2017-08-17 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