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정 확대·일자리 추경 필요… 文대통령과 일면식도 없어”

“재정 확대·일자리 추경 필요… 文대통령과 일면식도 없어”

오달란 기자
오달란 기자
입력 2017-05-21 22:40
수정 2017-05-22 00:2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김동연 경제부총리 후보자 간담회

“향후 5년 경제 살릴 마지막 기회
고용 증대·공정시장 우선 과제로
법인세 인상 신중히 접근할 사항”
40분 간담회 뒤 버스 타고 귀가
이미지 확대
3개 정부 고위관료 중용된 ‘고졸 신화’
3개 정부 고위관료 중용된 ‘고졸 신화’ 김동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후보자는 관료사회 내부에서도 어려운 환경을 극복해낸 ‘고졸 신화’의 대명사로 통했다. 김 후보자가 21일 경기 과천시 별양동에 위치한 한 카페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인사말을 하고 있다.
손형준 기자 boltagoo@seoul.co.kr
문재인 정부의 초대 경제수장으로 지명된 김동연(60)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후보자는 경제 활성화를 위한 재정 확대를 강조하며 그동안의 정부 방침과 차별화된 정책 방향을 예고했다. 그는 21일 오후 8시 경기 과천의 한 카페에서 기자 간담회를 가진 자리에서 “사람 중심의 일자리 창출과 공정한 시장경제를 구축하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이날 오후 기재부 간부들의 보고를 받기 위해 서울 모처로 이동하면서 직접 자기 차를 몰았던 김 후보자는 40여분의 기자 간담회가 끝난 뒤에는 시내버스를 타고 귀가했다.

다음은 김 후보자와의 일문일답이다.

→경제부총리 지명을 받은 소감은.

-아주 어렵고 중요한 시기에 중책을 맡게 됐다. 국가적으로 볼 때 앞으로 5년은 경제를 살릴, 어쩌면 마지막 기회라고 생각한다. 경제는 내가 책임지겠다는 비상한 각오로 모든 역량을 쏟아붓겠다. 경제 분야의 근본적인 개혁은 사람 중심의 일자리 창출, 공정한 시장 경제를 구축하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언제 지명 사실을 알게 됐나.

-문재인 대통령과 일면식도 없고 전화통화를 한 적도 없다. 대선 과정에서 어떤 후보 진영에도 참여하지 않았다. 인선 과정에서 어떤 배경과 어떤 내부 논의가 있었는지도 아는 바가 없다.

→예산·재정 분야에서 경제부총리가 선임된 것이 처음이다.

-그런 분류에 개인적으로 썩 동의하지는 않는다. 경제기획원의 경제기획국장, 전략기획국장으로 일하면서 우리 경제의 거시·전략 측면을 오랫동안 봤고 청와대 경제금융비서관으로서 거시와 미시경제, 산업, 금융, 국제경제 등을 담당할 기회가 있었다. 또 국무조정실장으로서 여러 부처의 일을 종합적으로 보고 조율했다.
이미지 확대
2012년 1월 당시 이명박 대통령으로부터 기재부 2차관 임명장을 받고 있다. 청와대사진기자단
2012년 1월 당시 이명박 대통령으로부터 기재부 2차관 임명장을 받고 있다.
청와대사진기자단
→‘일자리 추경’은 어떻게 추진할 것인가.

-지금 단계에서 추경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청년 실업률이 통계상 두 자릿수를 넘었고 체감 실업률이 23%에 이른다는 분석도 있다. 양적·질적으로 일자리에 만족하지 못하는 청년들이 많다. 일부 거시경제 지표가 좋지만 국민이 체감하는 경기와 거리가 멀고 내실 있는 성장인지 의문이다. 이런 상황들을 고려하면 추경은 필요하다.

→확장적 재정정책을 펼칠 거라는 예상이 많다.

-지금 상황에서 확장적 재정정책은 타당해 보인다. 지난 1월 전미경제학회에서 보수·진보 경제학자들이 모두 통화보다는 재정이 정책효과가 뚜렷하다는 데 동의했다. 지금처럼 저성장이 고착되고 실업 문제도 커진다면 우리 노동력의 질과 숙련도가 떨어져 성장잠재력을 위협받는 상황이 될 수 있다.
이미지 확대
2013년 3월 당시 박근혜 대통령으로부터 국무조정실장 임명장을 받고 있다. 이언탁 기자 utl@seoul.co.kr
2013년 3월 당시 박근혜 대통령으로부터 국무조정실장 임명장을 받고 있다.
이언탁 기자 utl@seoul.co.kr
→증세를 추진할 생각인가.

-최근까지 세수 상황이 비교적 좋은 것으로 안다. 면밀히 살펴서 추경 재원으로 사용하겠다. 세제 개편 방향은 조세 감면 혜택을 줄이거나 분리과세를 종합과세로 돌리는 등 실효세율을 높일 방안을 강구하겠다. 법인세 증세는 다른 방안을 검토한 뒤 아주 신중히 접근할 사항이라고 생각한다.

오달란 기자 dallan@seoul.co.kr

2017-05-22 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