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명진 비대위’ 무산… 印 “패거리 정치” vs 친박 “물러나야”

‘인명진 비대위’ 무산… 印 “패거리 정치” vs 친박 “물러나야”

이영준 기자
이영준 기자
입력 2017-01-06 22:40
수정 2017-01-07 01:4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새누리 ‘친박 청산’ 제동… 인명진號 위기

상임전국위 정족수 2명 모자라 못 열려… 친박 서청원 측, 위원 참석 저지에 총력
서청원 “탈당 강요하면 법적 대응할 것”… 印 위원장, 내일 거취 표명 여부가 변수

새누리당 인명진 비상대책위원장의 ‘친박(친박근혜) 청산’에 제동이 걸렸다. 당은 인적 청산 ‘순응파’와 ‘저항파’ 둘로 쪼개지며 또다시 내홍을 노골화했다. 인 위원장과 서청원 의원 간의 틀어진 관계는 되돌릴 수 없을 지경에 이르렀다.

이미지 확대
국회 빠져나가는 인명진 위원장
국회 빠져나가는 인명진 위원장 새누리당 인명진 비상대책위원장이 6일 자신이 추천하는 비대위원을 추인하기 위한 상임전국위원회 전체회의가 정족수 미달로 무산된 뒤 서울 여의도 국회 본청 앞에서 취재진에 둘러싸여 차를 타고 있다.
강성남 선임기자 snk@seoul.co.kr
인 위원장은 6일 비상대책위원 임명을 위해 상임전국위원회 전체회의를 소집했다. 인 위원장이 탈당 시한으로 제시한 이날까지 친박계 핵심들이 당을 떠나지 않고 버티자 최고 의결기구인 비상대책위원회를 구성해 이들의 탈당을 압박하려는 취지였다. 그러나 재적위원 51명 중 과반인 26명에 2명이 모자라 회의는 열리지 못했고 비대위원 임명도 무산됐다.

인 위원장은 “나라를 망친 패거리 정치의 민낯을 국민 여러분께 낱낱이 보여주는 사태”라면서 “이 사태에 대해 깊이 숙고하고 당이 앞으로 나갈 수 있는 길이 무엇인지 찾아보고 다시 한번 저의 의견을 말씀드릴 기회를 갖겠다”고 밝힌 뒤 회의장을 떠났다.

이날 상임전국위는 개최하려는 인 위원장과 무산시키려는 서 의원 간 한판 ‘승부의 장’이었다. 당초 인 위원장 측은 의사정족수를 훌쩍 넘는 30여명이 참석할 것이라 장담했다. 서 의원 측은 “표대결에서 지지 않겠다”며 위원들의 참석을 막는 데 사력을 다했다. 회의는 의사정족수 부족으로 계속 지연됐다. 조경태 의원은 불참한 위원들에게 참석을 종용하러 다녔고, 정용기 원내수석대변인은 회의장을 떠나려는 위원들을 붙잡느라 애를 썼다. 하지만 회의는 1시간 30여분 만에 무산됐다. 결국 서 의원이 ‘2표’ 차이로 승리한 셈이 됐다.

이날 사태로 친박계가 인 위원장의 청산에 동조하는 세력과 서 의원을 따르는 세력으로 분열됐음이 여실히 드러났다. 상임전국위에 모습을 드러낸 의원은 ‘순응파’, 불참한 의원은 ‘저항파’로 분류된다. 정우택 원내대표는 “개혁과 쇄신을 위해 몸부림치고 있는데 아직도 기득권을 누리려는 분들의 방해가 있었다”며 서 의원을 겨냥했다. 박맹우 사무총장도 “확인된 참석 예정자가 36명이었는데, 조직적이고 체계적으로 방해하는 세력 때문에 회의장에 다 왔는데도 들어오지 못했다”고 지적했다.

인 위원장 측은 “왜 친박을 청산해야 하는지 그 이유가 만천하에 드러났다”며 확실한 ‘청산 명분’을 얻게 됐다고 자평했다. 의도된 무산일 수 있다는 얘기다. 이에 서 의원은 “정당법 54조에 탈당 강요자는 2년 이하의 징역 또는 200만원 이하 벌금에 처하도록 돼 있고, 50여명 의원의 위장탈당으로 압박하는 것은 위계에 의한 업무방해죄, 할복하라는 것은 협박죄·강요죄에 해당한다”며 법적 대응에 나서겠다고 밝혔다. 다른 친박 의원도 “인 위원장은 물러서거나 물러나야 한다”고 말했다.

당 지도부는 상임전국위를 다음주 다시 열 계획이다. 다만 인 위원장이 8일 자신의 거취에 대해 어떤 입장을 표명할지가 변수다. 새누리당이 파국으로 향할수록 개혁보수신당으로의 2차 탈당 규모는 더 커질 것으로 전망된다.

이영준 기자 apple@seoul.co.kr

문경근 기자 mk5227@seoul.co.kr
2017-01-07 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2 / 5
AI의 생성이미지는 창작인가 모방인가
오픈AI가 최근 출시한 ‘챗GPT-4o 이미지 제네레이션’ 모델이 폭발적인 인기를 끌면서 인공지능(AI)이 생성한 이미지의 저작권 침해 문제가 도마 위에 올랐다. 해당 모델은 특정 애니메이션 ‘화풍’을 자유롭게 적용한 결과물을 도출해내는 것이 큰 특징으로, 콘텐츠 원작자의 저작권을 어느 범위까지 보호해야 하는지에 대한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1. AI가 학습을 통해 생성한 창작물이다
2. 저작권 침해 소지가 다분한 모방물이다.
2 / 5
2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