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무총장제·최고위원제 유지 의견 우세…일각서는 반발도
더불어민주당이 30일 전당대회 룰 논의에 본격적으로 착수하면서, 사무총장제·최고위원제 폐지를 골자로 하는 혁신안도 소멸 기로에 놓였다.당내에서는 혁신안을 폐기하고 사무총장제와 최고위원제를 고수해야 한다는 여론이 우세한 상황이다.
그러나 일각에서는 “한 번도 시행해보지 않고 폐기해서는 안된다”며 혁신안 고수를 주장하는 의견도 있어 격론이 예상된다.
더민주는 이날 전당대회준비위원회 분과위원 인선을 마무리하고, 오후에는 전준위 1차 회의를 열어 혁신안 폐기 여부를 논의한다.
전준위 관계자는 “오늘은 첫 회의인 만큼 결론이 나지 않을 가능성도 있다”면서도 “오래 끌 문제는 아니다”라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현재로서는 폐지 쪽 의견이 많은 것이 맞다”며 “특히 5본부장제의 경우 사무총장이 모든 업무를 총괄하던 때에 비해 비효율적이라는 지적이 많다. 최고위원제 역시 현실적으로 유지해야 한다는 의견이 다수”라고 설명했다.
이 혁신안은 문재인 전 대표 시절 만들어진 것이지만, 현재 전준위 내에는 문 전 대표와 가까운 인사가 거의 없어 이런 흐름에 더욱 힘이 실릴 수 있다는 분석도 있다.
더민주는 이날 전혜숙 김해영 문미옥 백혜련 송옥주 이철희 의원 등을 추가로 전준위원에 임명했다. 문 전 대표 측 인사로 분류될 수 있는 사람으로는 양향자 광주서을 지역위원장 정도가 포함됐다.
앞서 임명된 오제세 준비위원장 및 정장선 총괄본부장 이찬열 유은혜 윤관석 분과위원장 등을 살펴봐도 친노(친노무현) 진영 인사는 찾아보기 어렵다.
만일 전준위원들이 당헌·당규에서 사무총장제와 최고위원제를 유지하기로 한다면, 문재인 전 대표 시절 ‘김상곤 혁신위원회’가 만든 혁신안은 10달 만에 원점으로 돌아가게 된다.
사무총장제를 대체하는 5본부장 체제는 그나마 운영을 해봤지만, 최고위원제 폐지안은 한 번도 적용하지 못한 채 사라지는 셈이다.
그러나 일각에서는 혁신안을 이대로 폐기해선 안 된다는 반발도 거세다.
혁신위에서 활동했던 우원식 의원은 이날 MBC라디오에 나와 “불편하다는 이유로 없애는 것은 계파의 시대로 돌아가자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그는 “최고위원제가 유지된다면 계파 보스에 대한 줄서기가 계속될 것”이라며 “혁신안을 수정은 해볼 수 있겠지만 근본정신을 없애서는 안된다”고 덧붙였다.
특히 최고위원제 폐지 문제는 전준위 내에서도 의견이 갈리는 상황이다.
백재현 부위원장은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사견임을 전제하면서 “지방분권의 취지를 봐도 최고위원제를 폐지하고 대신 지역·부문별 대표위원을 뽑는 혁신안을 고려해 봐야 한다”고 했다.
당 대표와 최고위원을 분리해서 선출하는 현재의 ‘단일성 집단지도체제’를 유지하느냐, 아니면 선거에서 최다득표자를 당 대표로, 차순위 후보들을 최고위원으로 하는 ‘순수 집단지도체제’로 전환하느냐도 전준위의 논의 대상이다.
현재까지 당내에서는 당 대표의 권한이 상대적으로 강한 단일성 집단지도체제 유지 쪽이 더 우세한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여당이 순수 집단지도체제에서 단일성 집단지도체제로 전환키로 하면서, 더민주 내에서도 ‘강력한 대표’론에 힘이 실리고 있다.
다만 이같은 지도체제 개편 논의는 최고위원제 폐지 여부에 크게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어, 결론을 내기까지 더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