金 ‘국민참여비율 상향’·친박 ‘결선투표 도입’ 각각 관철참여비율·결선투표 대상 등 세부시행안 놓고 진통 겪을듯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와 친박(친 박근혜)계가 공천 룰에 한발씩 양보하면서 두 달 넘게 끌어온 공천 특별기구 발족이 성사됐다.공천 룰에 대한 새누리당 최고위원회의의 7일 결정은 경선에서 당원과 국민의 참여 비율 조정, 결선투표제의 도입으로 요약된다.
그동안 김 대표는 ‘국민공천제’를 통한 상향식 공천 도입을 위해 후보자 공천에서 국민 참여비율을 높여야 한다고 줄기차게 주장했다.
그러나 친박계는 당헌·당규상 규정을 근거로 대의원 구성에서 ‘당원 대 국민’의 비율을 50:50에서 바꿀 수 없다고 맞섰다.
양측 모두 기존 입장에서 물러서 전날 최고위원간 비공개 만찬과 이날 최고위를 통해 “현행 당헌당규에 따르되 경선에서 대의원(당원) 비율은 상황에 따라 조율한다”고 절충점을 마련했다.
국민참여비율을 일괄적으로 높이는 방식은 아니지만 일단 상향식 공천의 정신을 실천하기 위한 논의의 물꼬를 트게 된 셈이다.
특히 김 대표 측은 선거를 앞두고 비정상적으로 당원 숫자가 늘어난 지역에서는 국민참여비율을 높이는 방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인위적인 당원 모집 의혹이 제기될 경우 공정성 논란이 제기될 수 있기 때문이다.
또 당원이 거의 없는 호남과 같은 약세 지역도 당원 반영 비율이 낮아질 수밖에 없다.
이러한 지역이 많이 나올수록 국민참여비율의 증가는 자연스럽게 전국으로 확산될 가능성도 있다.
반대로 결선투표제는 친박계의 의견이 관철된 것으로 풀이된다.
영남을 중심으로 내각과 청와대에서 고위직을 지낸 ‘박근혜 키즈’들이 현역의원 프리미엄이라는 방어막을 뚫으려면 현역 의원과 ‘1:1’ 구도를 만드는 게 아무래도 유리한 게 사실이다.
박심(朴心·박근혜 대통령의 의중)을 은연중에 내비쳐 박 대통령에 대한 충성도가 높은 당원들을 결집할 수 있기 때문이다.
박 대통령의 집권 후반기에 ‘친정 체제’를 구축하고 안정적인 국정 운영을 도모하는 친박계의 이해관계와도 맞아떨어지는 측면이 있다.
특별기구 위원장으로 김 대표가 밀었던 황진하 사무총장을 앉힌 데는 어차피 기구 논의 사항은 친박계가 수적으로 유리한 최고위원회의에서 의결을 거쳐야 한다는 점에서 양측이 힘의 균형점을 찾았다고 볼 수 있다.
다만 특별기구 구성은 룰 세팅을 위한 첫단추일 뿐 본격적인 혈투는 이제부터 시작이라는 전망이 대체적이다.
벌써 국민참여비율 상향을 놓고도 물밑에서는 해석이 판이하다.
한 친박계 의원은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지금은 김 대표의 체면을 세워 준 합의로서 결국 물러날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반면 비박계 한 인사는 “청와대도 국민참여비율을 높여야 한다고 생각하고 있는데 친박계가 내용도 모르고 기존 주장을 되풀이하는 것”이라면서 “결국 김 대표의 생각대로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결선투표제의 구체적인 시행방안도 논란이 될 전망이다. 당장 결선투표제 대상을 누구로 정할지가 쟁점이다. 일각에선 본선 투표 결과 1위 후보가 과반득표한 경우에만 결선투표 실시를 제외해야 한다는 입장인 반면에, 다른 일각에선 1위 후보가 2위 후보를 오차범위를 넘어서 이기면 결선투표를 할 필요가 없다고 맞서고 있는 등 기준이 다양하게 제기된다.
결선투표제를 가장 강하게 주장했던 김태호 최고위원은 최고위 회의 직후 기자들과 만나 “불출마 선언을 더 많이 해야 한다. 집권 여당이 그런 모습을 강하게 보여주는 게 국민에 대한 도리”라고 강조했다.
향후 공천 특별기구와 새롭게 구성될 공천관리위에서 전략공천이나 현역 의원의 컷오프 등을 통해 물갈이 요구가 거세질 것이라는 점을 예고하는 대목이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