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세계적으로 농촌에서 도시로의 인구 이동이 사회적 문제로 두드러지는 가운데 북한에서는 많은 주민이 농사를 짓겠다고 자원해 눈길을 끈다.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은 지난 24일 “(황해북도) 신계군 안의 여성들이 사회주의 농촌 진지를 강화하기 위한 투쟁에 떨쳐나섰다”라며 “최근 2천여 명의 여성들이 군 안의 농장들에 진출했다”고 전했다.
신계군은 3면이 산으로 둘러싸인 산악지대로 농경지 대부분은 밭이며 옥수수 농사가 잘돼 옥수수 생산량이 황해도 전체 생산량의 20%를 차지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신계군 중심지에서 살던 이 여성들은 농사와는 전혀 관계가 없었던 사람들로 자기 집에서 가까운 농장에서 농사일하겠다고 앞다퉈 자원한 것으로 보인다.
노동신문은 “군당위원회 일꾼(간부)들의 아내들이 남 먼저 농촌 진출의 깃발을 들었다”라며 이들의 뒤를 이어 군 인민위원회, 군 협동농장경영위원회, 군 인민보안서 간부의 부인들과 여러 분야에 근무하던 여성들이 농촌에 진출했다고 밝혔다.
이어 간부 부인들이 농사일을 자원한 소식이 전해지자 병원 등 보건부문과 식당, 편의봉사시설 등 ‘비생산 단위’에서 근무하던 여성들도 잇따라 농민이 되기로 자원했다고 소개했다.
예전에도 도시 주민이나 공무원 등 농사와 관계없는 업종에서 일하던 주민들이 농장에 이주하는 사례는 없지 않았지만, 이번처럼 한 개 군에서 몇 천명 규모로 농사일을 하겠다고 자원해 나선 경우는 이례적인 일이다.
특히 김정일 시대에는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지시로 몇백 명의 제대군인이 농장에 집단 배치되거나 10∼20명의 중학교 졸업생 동기들이 ‘어렵고 힘든 부문에 진출한다’며 농민으로 자원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이처럼 몇 천 명의 주민이 농사를 짓겠다고 농민이 된 ‘기이한’ 현상이 발생한 것에 대해 전문가들은 김정은 체제의 농업개혁 조치와 연관이 있다고 분석했다.
임을출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교수는 “북한 청년들도 농사일을 기피해 농촌 노동력이 많이 부족한 현실”이라며 “김정은 체제 들어 농업 분야의 성과를 부쩍 강조하는 가운데 농촌으로의 노동력 투입을 독려하는 모양새”라고 설명했다.
함경북도 길주군 출신의 탈북자 이모씨는 전업주부 등 여성들이 농사일을 자원하는 현상에 대해 “장사가 잘되는 도시와는 달리 산골 군에서는 장사도 안 되고 일거리도 마땅히 없다”라며 “군당이나 군 인민위원회 간부들도 생활이 어려워 부인들이 농사라도 지어 먹고살려는 생각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은 지난 24일 “(황해북도) 신계군 안의 여성들이 사회주의 농촌 진지를 강화하기 위한 투쟁에 떨쳐나섰다”라며 “최근 2천여 명의 여성들이 군 안의 농장들에 진출했다”고 전했다.
신계군은 3면이 산으로 둘러싸인 산악지대로 농경지 대부분은 밭이며 옥수수 농사가 잘돼 옥수수 생산량이 황해도 전체 생산량의 20%를 차지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신계군 중심지에서 살던 이 여성들은 농사와는 전혀 관계가 없었던 사람들로 자기 집에서 가까운 농장에서 농사일하겠다고 앞다퉈 자원한 것으로 보인다.
노동신문은 “군당위원회 일꾼(간부)들의 아내들이 남 먼저 농촌 진출의 깃발을 들었다”라며 이들의 뒤를 이어 군 인민위원회, 군 협동농장경영위원회, 군 인민보안서 간부의 부인들과 여러 분야에 근무하던 여성들이 농촌에 진출했다고 밝혔다.
이어 간부 부인들이 농사일을 자원한 소식이 전해지자 병원 등 보건부문과 식당, 편의봉사시설 등 ‘비생산 단위’에서 근무하던 여성들도 잇따라 농민이 되기로 자원했다고 소개했다.
예전에도 도시 주민이나 공무원 등 농사와 관계없는 업종에서 일하던 주민들이 농장에 이주하는 사례는 없지 않았지만, 이번처럼 한 개 군에서 몇 천명 규모로 농사일을 하겠다고 자원해 나선 경우는 이례적인 일이다.
특히 김정일 시대에는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지시로 몇백 명의 제대군인이 농장에 집단 배치되거나 10∼20명의 중학교 졸업생 동기들이 ‘어렵고 힘든 부문에 진출한다’며 농민으로 자원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이처럼 몇 천 명의 주민이 농사를 짓겠다고 농민이 된 ‘기이한’ 현상이 발생한 것에 대해 전문가들은 김정은 체제의 농업개혁 조치와 연관이 있다고 분석했다.
임을출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교수는 “북한 청년들도 농사일을 기피해 농촌 노동력이 많이 부족한 현실”이라며 “김정은 체제 들어 농업 분야의 성과를 부쩍 강조하는 가운데 농촌으로의 노동력 투입을 독려하는 모양새”라고 설명했다.
함경북도 길주군 출신의 탈북자 이모씨는 전업주부 등 여성들이 농사일을 자원하는 현상에 대해 “장사가 잘되는 도시와는 달리 산골 군에서는 장사도 안 되고 일거리도 마땅히 없다”라며 “군당이나 군 인민위원회 간부들도 생활이 어려워 부인들이 농사라도 지어 먹고살려는 생각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