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당 대회 앞두고 ‘파워 게임’ 치열해질 듯
서청원 전 한나라당(현 새누리당) 대표가 10·30 재·보궐선거로 원내에 입성하면서 여권 내 권력지형에 상당한 변화가 예상된다.서 의원이 박근혜 대통령의 원로 자문그룹인 ‘7인회’에 속했던 인물로 알려지는데다 박 대통령의 대권을 위해 뛰었던 ‘일등공신’으로 분류되는만큼 친박이 주류인 당내에서 중추적 역할을 할 것이라는 관측이 지배적이다.
서 의원의 등장으로 새누리당에 박 대통령의 ‘친위체제’가 구축됐다는 분석이 나올 정도이다.
서 의원이 앞으로 당직을 맡을지, 어느 정도의 정치적 보폭으로 움직일지에 대해서는 전망이 엇갈리지만 그가 친박계에 강한 구심점이 될 것이라는데에는 이의가 없는 듯 하다.
특히 원조 친박, 이른바 ‘원박’이 힘을 받을 것이라는 관측이 많다.
최근 진영 전 보건복지부 장관이 박 대통령에게 사실상 항명하다시피 하며 물러난 상황에서 박 대통령의 임기초 국정운영을 강력하게 뒷받침할 수 있는 그룹은 이들 ‘원박’ 밖에 없다는 정서가 형성돼 있기 때문이다.
서 의원은 지난 2007년과 2012년 대선에서 모두 ‘박근혜 대통령 만들기’에 앞장섰던데다 7선 의원이라는 정치적 관록을 갖췄다는 점에서 이 같은 역할에는 적임이라는 평을 얻고 있는게 사실이다.
한 친박 의원은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아직 임기 초이기 때문에 현 정부의 핵심 국정 과제를 당이 협조해 힘있게 추진할 필요가 있다”면서 “이를 위해서는 역시 박 대통령의 국정철학을 확실히 이해하고 실천할 수 있는 의원들이 하나로 힘을 합쳐야 한다”고 말했다.
이렇듯 박 대통령에 대한 충성심이 강한 원박들이 뭉치는 효과와는 별개로 신박(新朴), 탈박(脫朴), 비박(非朴)이 어떤 움직임을 보일지도 관심이다.
일부에서는 오히려 이들이 주류에서 더욱 멀어지는 계기로 작용할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당내 주류와 비주류가 더욱 뚜렷해지는 단초가 될 수 있다는 것이다.
친박 내 ‘이합집산’, 즉 분화의 신호탄이 될 것이라는 시각도 있다.
원박 그룹에 속하지 못한 의원들은 일정한 거리감을 유지한 채 다른 지점에서 활로를 모색할 개연성이 큰 것으로 분석된다.
4·24 재·보선에서 당선돼 유력한 차기 당권주자로 떠오른 친박 좌장 출신의 김무성 의원이 대표적이다.
지난달 김 의원이 ‘근현대사연구교실’ 모임을 열자 단숨에 100여명이 가입, 주목을 받았으나 서 의원이 들어오면서 관계가 불편해지지 않겠느냐는 전망이 나온다.
서 의원과 김 의원이 내년 전당대회에서 차기 당권을 놓고 겨룰 것이라는 관측도 당안팎에 파다하다. 심지어 당내 반발이 적지 않은 상황에서도 현 지도부가 서 의원을 재·보선에 공천한 것이 ‘김무성 견제용’이라는 말이 떠돌기도 했다.
서 의원이 국회의장보다는 당 대표에 도전해 박근혜정부를 뒷받침할 적극적 역할을 모색할 것이라는 관측이 제기되기 때문이다.
여기에 김문수 경기지사가 차기 대권을 노리고 당에 복귀할 경우, 당 세력 분포는 다극 체제로 전개될 가능성이 크다.
또 한때 친박 핵심이었지만 지금은 소원해진 유승민 의원도 차세대 대구·경북(TK) 지도자로 당권 경쟁에 뛰어들 수도 있다.
차기 당 대표는 2016년 제20대 총선의 공천권을 행사할 가능성이 높아 차기 전당대회는 그야말로 불꽃튀는 격전이 벌어질 수 있다는 것이다.
내년 6월에는 전국 동시 지방선거가 있어 원래대로라면 5월에 전당대회가 열려야 하지만 다소 미뤄지지 않겠느냐는 전망이 우세하다. 우선 선거를 치르고 나서 차기 당 지도 체제를 구성하자는 얘기다.
임기 2년의 새 당대표가 20대 총선의 공천권에 영향력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조기 전당대회보다는 전대를 다소 늦추는게 안정적이라는 이해득실도 맞아떨어진다.
이래저래 내년 중반 여권내 파워 게임은 더욱 복잡한 양상으로 전개될 것으로 예상된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