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영표 “이지원 사본, 봉인 해제·무단 접속 확인”

홍영표 “이지원 사본, 봉인 해제·무단 접속 확인”

입력 2013-07-21 00:00
업데이트 2013-07-21 15:4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대통령기록관 기록물 부실관리 진상 밝혀야”

고(故) 노무현 전 대통령측이 봉하마을로 반출했다가 대통령기록관에 반납한 참여정부 청와대 업무관리시스템인 이지원(e-知園) 사본의 봉인이 뜯겨지고 무단 접속이 이뤄진 흔적이 확인됐다는 주장이 21일 제기됐다.

민주당 친노(친노무현)진영의 핵심 인사인 홍영표 의원은 이날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지난 3월26일 노무현재단 사료팀장 등 실무자 2명이 이지원 사본 안에 있는 노 전 대통령의 서한 등 개인기록을 제공받기 위해 대통령기록관을 방문했을 당시 사본이 보관된 지정기록 특수서고의 봉인이 해제돼 있었다”고 주장했다.

뿐만아니라 “이지원 사본 시스템에 접속한 흔적인 ‘로그 기록’이 2010년과 2011년 한차례씩 2건 발견됐다”면서 “재단측의 이의제기로 추가 확인작업은 중단됐다”고 밝혔다. 로그기록이 남은 시점은 이명박 정부 재임시절이다.

이후 국가기록원측은 ‘시스템 구동 여부 확인’과 ‘항온항습 점검’을 위해 각각 로그한 것이라고 설명해 왔다고 홍 의원은 전했다.

노 전 대통령측은 봉하마을 사저에 있던 이지원 사본을 2008년 7월18일 대통령기록관에 반납했다. 이후 대통령기록관과 노 전 대통령측은 검찰조사가 마무리된 같은 해 10월 검찰 입회 하에 해당 시스템을 봉인했었다.

홍 의원은 “(이번 일로 비쳐볼 때) 대통령기록관의 지정기록물 관리가 어떻게 이뤄졌는지 신뢰성에 심각한 우려가 제기된다”면서 “대통령기록관은 이지원 사본의 봉인 해제 및 접속 경위에 대해 분명히 해명하고, 추가로 접속한 사실이 없는지 밝혀야 한다”고 주장했다.

앞서 노 전 대통령은 여야 열람위원들이 두 차례 예비열람에서 2007년 남북정상회담 대화록을 찾지 못하자 참여정부가 노 전 대통령 관련 기록물을 전부 이관했다며 5년간 이를 관리해온 전임 이명박정부가 훼손했을 가능성을 제기한 바 있다.

홍 의원은 “대통령기록관 지정기록물의 관리실태 전반에 대한 확인도 병행돼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