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진보당 두 비대위 힘겨루기…끝없는 갈등

통합진보당 두 비대위 힘겨루기…끝없는 갈등

입력 2012-05-20 00:00
수정 2012-05-20 16:1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석기ㆍ김재연 제명 수순 vs ‘당원비대위’ 맞대응

통합진보당의 비례대표 부정 경선 파문이 점입가경 양상이다.

중앙위 폭력사태를 신호탄으로 통합진보당의 양대 축인 당권파와 비당권파의 힘겨루기가 거듭된데 이어 20일에는 한국 정당사에 역사를 찾기 어려운 한 지붕 두 비대위 체제가 등장하기에 이르렀다.

통합진보당 사태는 당원에 의한 지도부 폭행(지난 12일 중앙위), 전자투표에 의한 혁신안 및 경선 비례대표 일괄 사퇴(지난 14일 중앙위 전자회의), 민주노총의 조건부 지지철회(지난 17일) 등을 거치면서 정치권의 최대 이슈로 자리잡았다.

비당권파는 중앙위 이후 혁신비대위를 출범시키고 당의 쇄신작업에 돌입하면서 신당권파로 등장했다. 세가 약화된 당권파는 구당권파로 위상이 뒤바뀌었다.

구당권파는 이석기 김재연 이상규 당선자 등이 언론 인터뷰 등을 통해서 신당권파측을 공격하고 나섰지만 비례대표 부정 경선에 대한 악화된 여론을 만회하는 데는 별 효과를 얻지 못했다.

오히려 이석기 당선자는 인터뷰를 통해 “어느 나라도 100% 완벽한 선거는 없다”, “부정이 70%, 50%는 돼야 총체적 부정, 부실로 표현할 수 있다”는 발언으로 논란만 키우기도 했다.

특히 이 당선자의 경우 과거 민족민주혁명당(민혁당) 사건과 관련된 사실이 부각되면서 통합진보당 경선부정 파문이 종북 논쟁, 주사파 논쟁 등으로 변질되는 결과를 초래하기도 했다.

이런 과정을 거치며 이어져 온 양측간 대치는 20일 구당권파가 신당권파의 혁신비대위에 맞서 ‘당원비대위’를 공식 결성하면서 정점으로 치달았다.

신당권파는 지난 18일 구당권파의 핵심인 이석기 김재연 비례대표 당선자에 대해 오는 21일 오전 10시까지 비례대표후보자 사퇴신고서를 제출하도록 통보한데 이어 19일에는 사무처 당직자 인사까지 하는 등 전열을 정비한 상태다.

20일에는 지난 12일 중앙위 파행으로 발표되지 못한 경선부정 의혹에 대한 중앙위 진상보고서도 추가로 공개했다.

신당권파는 두 사람이 사퇴를 거부할 경우에는 당헌ㆍ당규에 따라 제명 수순에 착수할 예정으로 전해졌다.

물론 당사자가 의원직 사퇴서를 내지 않을 경우 의원직은 유지하게 되지만 제명처리를 한다는 것은 사실상 두 사람은 물론 구당권파와의 결별도 불사하겠다는 뜻을 시사하기 때문에 이번 사태도 새로운 국면으로 접어들 가능성이 높다.

이미 이석기 당선자는 지난주 라디오 인터뷰에서 자신들에 대한 신당권파의 사퇴 요구 및 출당 검토에 대해 “당이 분당될 수밖에 없는 시나리오”라고 주장한 바 있다. 신-구당권파 모두 금기시하는 ‘분당’ 카드로 역공을 암시한 셈이다.

구당권파측의 오병윤 당원비대위원장이 20일 “당원비대위를 중심으로 진실을 규명해 당원의 명예를 회복하겠다”고 한 것도 신당권파를 정면 겨냥한 것이다.

이 발언은 조준호 전 공동대표가 공개한 진상조사보고서가 구당권파를 제거하기 위한 목적에서 의도적으로 조작됐을 가능성이 있다는 구당권파의 시각을 반영한 것이기 때문이다.

이석기 김재연 비례대표 당선자도 지난주 당적을 서울시당에서 경기도당으로 옮기는 등 신당권파의 제명 카드에 맞서 방어에 나섰다.

이처럼 양측이 각각 비대위를 구성하며 ‘마이웨이’를 고수함에 따라 통합진보당 사태는 한 치 앞을 내다보기 힘든 혼미 속으로 빠져들 가능성이 높아졌다.

신당권파와 구당권파 모두 비례대표 경선에 대한 별도 진상조사 방침을 밝힌데다 국회에서 별도의 대변인 브리핑도 계획돼 있다.

당장 이달 30일 임기가 시작되는 19대국회 개원협상에도 두개의 비대위가 주도권 다툼을 벌일 것으로 보인다. 양측이 상대방을 인정하지 않는 만큼 출구를 찾기도 힘든 상황이다. 양측간 지루한 대치가 이어질 수 있다는 의미다.

이런 상황에서 일부 당원들이 추진하는 ‘중앙위원회 결의에 대한 효력정지 가처분 신청’이 변수가 될 수 있다.

지난 12일의 중앙위 정회와 이후 진행된 중앙위 전자회의의 정당성을 높고 신-구당권파간 입장이 첨예하게 엇갈리는 만큼 소송에서 패소한 측은 입지가 상당부분 위축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