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두언 한나라당 여의도연구소장은 30일 “여론조사에 휴대전화를 활용할 수 있도록 기술적으로 보완하겠다.”고 밝혔다.
이미지 확대
정두언 한나라당 의원·여의도연구소 소장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정두언 한나라당 의원·여의도연구소 소장
정 소장은 “여론조사는 수치로 나타난 결과 자체보다 추세 분석이 중요하다고 하더라도 기존 유선전화 방식이 갖고 있는 한계가 적지 않게 노출된 상황”이라면서 이같이 말했다.
여연은 1995년 설립된 이후 한나라당의 싱크탱크 역할을 해 왔다. 특히 여연이 실시하는 여론조사의 정확성은 정평이 나 있다. 그러나 이번 10·26 서울시장 보궐선거 과정에서는 체면을 구겼다. 한나라당 나경원 후보가 무소속 박원순 후보보다 우위에 있다는 결과를 내놓았기 때문이다.
그동안 자동응답전화(ARS) 방식을 고수하던 여연은 지난 4·27 재·보궐 선거를 계기로 임의전화걸기(RDD) 방식을 도입했으나, 이번에 다시 ‘제3의 변신’을 준비하고 있는 것이다.
정 소장은 “시대가 바뀌었는데 여론조사 방식은 20여년째 그대로다. 20~40대 민심을 제대로 읽기 위해서는 여론조사 방식도 바뀌어야 한다.”면서 “특히 여론조사 결과를 내년 총선 공천의 기준으로 활용하려면 업그레이드가 반드시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정 소장은 이어 “민심을 반영한 공천이 이뤄지려면 여론조사로 대표되는 ‘정량평가’뿐만 아니라 오디션 방식의 ‘정성평가’가 병행돼야 할 것”이라면서 “불합리한 잣대를 공천 잣대로 들이밀면 누가 승복하겠나.”라고 덧붙였다.
다만 그는 “여론조사에 휴대전화를 활용하려면 법 개정이 필요한 만큼 신중하게 접근해야 할 문제”라고 덧붙였다.
장세훈기자 shjang@seoul.co.kr
2011-10-31 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정부가 실손의료보험 개편을 본격 추진하면서 보험료 인상과 의료비 통제 문제를 둘러싼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비급여 진료비 관리 강화와 5세대 실손보험 도입을 핵심으로 한 개편안은 과잉 의료 이용을 막고 보험 시스템의 지속 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한 조치로 평가된다. 하지만 의료계와 시민사회를 중심으로 국민 재산권 침해와 의료 선택권 제한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