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벨트 성패는 연구환경… 분산되면 성과 내기 힘들다”

“과학벨트 성패는 연구환경… 분산되면 성과 내기 힘들다”

입력 2011-04-06 00:00
수정 2011-04-06 00:5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과학자가 본 성공 조건은

“국내외 과학자들이 최고의 환경에서 마음껏 연구할 수 있는 연구시설과 문화·교육·주거 단지를 만들어 달라.” 초미의 관심사로 부상한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입지를 두고 ‘입주자’격인 과학자들은 정치논리보다는 연구에 전념할 수 있는 곳으로 해 달라는 목소리를 내기 시작했다.

과학자들은 ‘과학벨트 분산배치론’에 대해 회의적이다. 과학벨트를 분리해서는 기초과학의 성과를 기대하기 힘들다는 것이 이들의 주장이다. 익명을 요구한 한 물리학자는 5일 “오자형 벨트나 삼각형 벨트도 있지만 과학벨트를 지역별로 분리하면 그건 과학벨트라고 부를 수 없다.”며 “과학벨트가 무슨 물건도 아니고 이렇게 무 자르듯이 딱 자를 수 없다. 그렇게 되면 과학벨트가 아니라 국토 균형 분배사업이라고 해야 한다.”고 꼬집었다.

다른 생물 과학자도 “과학보다 비즈니스가 강조되면서 지자체의 유치경쟁이 치열해진 것 같다.”면서 “경제효과 등으로만 무조건 유치경쟁에 나설 것이 아니라 해당지역이 과학자들을 유치할 조건을 갖췄는지를 스스로 평가해 봐야 한다.”고 주장했다.

과학벨트의 성패는 연구 환경조성에 달려 있다는 게 이들의 공통 의견이다. 한 과학자는 “특히 기초연구는 단기간에 성과를 낼 수 있는 분야가 아니다. 장기간 연구를 해야 하는데 연구시설과 문화·교육·주거단지가 함께 이뤄져야 정부가 원하는 성과를 낼 수 있다.”고 말했다.

이미 과열된 입지 선정문제에 대해서도 오히려 이 기회를 활용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왔다. 다른 과학자는 “과학벨트는 이미 정치 문제로 변했기 때문에 과학계에 맡겨 달라는 요구는 설득력이 없다.”며 “정치적 논쟁을 없앨 수 없다면 차라리 국가 이익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논의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과학벨트 입지 경쟁을 단순 경쟁에서 해당지역의 정치·교육·예술 등 전체 지역사회의 협조를 구하는 장으로 마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과학벨트의 벤치마킹 대상인 일본 이화학연구소나 스위스에 있는 유럽핵입자물리연구소(CERN)도 마찬가지다. 이들은 연구시설도 훌륭하지만 과학자들이 장기간 머물면서 연구할 수 있는 매력도 함께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때문에 해외에서도 인재가 모이고 있다. 이화학연구소의 외국인 연구자 비율은 30%에 달하고, CERN에는 전 세계에서 매년 1만명에 달하는 연구자들이 찾아와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과학벨트위원회는 7일 1차 회의를 연다. 이주호 교육과학기술부 장관을 위원장으로 교과부·기획재정부·행정안전부·국토해양부·지식경제부·보건복지부 차관 등 6명의 당연직 위원과 민동필 기초기술연구회 이사장 등 민간전문가 13명을 포함한 20명으로 구성된다. 올 상반기에 과학벨트 입지가 선정될 계획이다. 다른 과학자는 “위원회가 정부 주도의 일방통행식이 아니라 정부 당연직과 민간 전문가들의 의견도 존중돼야 한다.”며 “민간 전문가가 들러리여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3조 5000억원이 투입되는 과학벨트에는 기초과학연구원과 중이온가속기가 들어서고, 연구원도 3000여명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정부는 이들의 30%를 외국인으로 채울 계획이다.

김효섭·최재헌기자

newworld@seoul.co.kr
2011-04-06 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