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년 평창 ‘동계 스페셜올림픽’ 세계대회 조직위원회 창립총회가 22일 서울 여의도 렉싱턴 호텔에서 개최됐다.
이미지 확대
나경원 한나라당 의원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나경원 한나라당 의원
조직위는 총회에서 나경원(사진·한나라당 최고위원) 준비위원장을 조직위원장 및 집행위 위원장으로 선출했다. 스페셜올림픽은 세계 지적발달 장애인들의 스포츠 축제이다.
나경원 위원장은 “평창 대회가 지적장애인에 대한 인식을 바꾸고 한국이 국제사회에 이바지하는 계기가 되기를 희망한다.”면서 “스페셜올림픽을 전 국민이 참여하는 대회로 승화시키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대회는 2013년 1월26일부터 2월7일까지 열리며 평창 알펜시아리조트와 강릉 빙상경기장 등에서 105개국 2500여명의 선수가 참가해 7개 동계종목, 59개 세부종목에서 대결을 펼친다. 또 3200여명의 임원과 심판, 언론인 등 1만3000명이 함께 한다.
조직위는 이 대회가 외교역량 강화는 물론 국가 지명도 상승 효과를 얻고, 2013 평창 동계올림픽 유치에 긍정적 영향력을 미칠 것으로 보고 있다. 또 우리나라의 국제화 촉진 및 대외 역량 강화, 지역경제 활성화 등의 가치를 창출할 것으로 기대했다.
이번 대회는 지난 2008년 2월 한국스페셜 올림픽위원회 이사회에서 2013년도 세계 동계 스페셜올림픽을 유치하자는 결의를 한 뒤 정부와 강원도 등이 함께 유치를 추진해 왔다. 지난 9월15일 평창 유치를 공식선언했다.
이날 창립 총회에는 임원 선임 및 조직위 정관, 2010년 사업계획 예산안 등의 안건을 심의·의결하고 대회의 성공개최를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을 결의했다. 이 자리에는 박선규 문화체육관광부 차관, 이광재 강원도지사, 우기정 한국스페셜올림픽위 회장 등 139명이 조직위 위원 자격으로 참석했다.
정부가 실손의료보험 개편을 본격 추진하면서 보험료 인상과 의료비 통제 문제를 둘러싼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비급여 진료비 관리 강화와 5세대 실손보험 도입을 핵심으로 한 개편안은 과잉 의료 이용을 막고 보험 시스템의 지속 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한 조치로 평가된다. 하지만 의료계와 시민사회를 중심으로 국민 재산권 침해와 의료 선택권 제한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