李대통령 “유외교 사퇴는 공직사회 기준”… 장·차관 워크숍서 강조
이명박 대통령은 5일 “(공정사회는)사회 지도자급, 특히 기득권자들이 지켜야 할 기준”이라면서 “아마도 기득권자에게는 매우 불편스럽고 고통스러운 일인지 모른다.”고 말했다.
청와대 사진기자단

이명박(뒷줄 왼쪽 네번째) 대통령이 5일 오후 청와대에서 열린 2010 장·차관 워크숍에 참석한 100여명의 정부 고위인사들에게 기득권층의 희생을 통한 공정 사회 구현을 강조하고 있다.
청와대 사진기자단
청와대 사진기자단
이 대통령은 청와대 영빈관에서 열린 장·차관 워크숍에서 “(공정사회 기준은) 정부 여당이 많은 고통과 피해를 볼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 공정한 사회를 만듦으로써 한 단계 격이 높은 나라를 만들 수 있다.”면서 이같이 밝혔다.
이 대통령은 “국민 모두에게 공정한 사회를 만들자고 주장하기에 앞서 공직사회, 권력 가진 자, 힘 가진 자, 가진 사람, 잘 사는 사람이 공정 사회를 만들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고 당부하고 “국민에게 먼저 공정 사회를 요구할 수도 없고, 해서도 안 된다.”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또 “저는 이번 국무총리 이하 국무위원 임명 과정에서 공정 사회에 맞지 않는 결과를 만들었기 때문에 책임이 전적으로 대통령에게 있다고 생각한다.”면서 “그러나 (총리 후보자 등에 대해) 아픔을 무릅쓰고 인사추천을 취소했다.”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불행히도 외교장관의 문제가 또 생겼는데 보통 때 같으면 오래된 관습이라면 통과될 수 있는 문제인지도 모르지만 공정 사회를 기준으로 보면 용납할 수 없는 사안”이라고 말했다. 이어 “이 두 가지 일을 놓고 공직사회의 기준이 될 것이라고 본다.”면서 “공직사회에서 업무를 수행하는 데 공정 사회라는 기준을 생각하지 않을 수 없게 됐다.”고 강조했다.
이 대통령은 이어 “국정을 운영하면서 일 하나하나가 공정한 사회라는 기준에 맞는지, 맞지 않는지 스스로 냉철하게 생각하면서 살펴야 한다.”고 밝혔다.
앞서 유명환 외교통상부 장관은 지난 4일 딸의 특혜 채용 논란에 책임을 지고 자진사퇴했다.
유 장관은 최근 딸 채용문제와 관련해 물의가 야기된 데 대해 “국민들에게 송구스럽게 생각하여 물러나기로 했다.”는 뜻을 밝혔다고 외교부 김영선 대변인이 전했다.
김성수기자 sskim@seoul.co.kr
2010-09-06 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