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동철 기자의 문화유산이야기 38] ‘인간의 몸은 소우주’라는 ‘동의보감’의 인식

[서동철 기자의 문화유산이야기 38] ‘인간의 몸은 소우주’라는 ‘동의보감’의 인식

서동철 기자
서동철 기자
입력 2015-11-09 11:25
수정 2015-11-09 11:2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14
 “사람은 우주에서 가장 지체가 높고 귀한 존재다. 머리가 둥근 것은 하늘을 본뜬 것이고, 발이 네모난 것은 땅을 본받은 것이다. … 하늘에 해와 달이 있듯이 사람에게는 안목(眼目)이 있다. 하늘에 밤낮이 있듯이 사람에게 잠들고 깨어나는 것이 있다. 하늘에 천둥과 번개가 있듯이 사람에게는 즐거워하고 노여워하는 마음이 있고, 하늘에 비와 이슬이 있듯이 사람에게는 눈물이 있다. 하늘에 음양이 있듯이 사람에게는 한열(寒熱)이 있고, 땅에 샘물이 있듯이 사람에게는 혈맥(血脈)이 있다. 땅에 초목(草木)과 금석(金石)이 있듯이 사람에게는 모발과 치아가 있다.”

이미지 확대
‘동의보감’의 ‘신형장부도’. 신체의 모양과 장기의 위치를 표시하고 있다.
‘동의보감’의 ‘신형장부도’. 신체의 모양과 장기의 위치를 표시하고 있다.
 ‘동의보감’은 ‘신형장부도’(身形臟腑圖)로 시작한다. 신체의 모양과 장기의 위치를 표시한 그림이다. 인체를 속속들이 파악하고 있는 요즘에는 별것 아닐 수도 있지만, 당시에는 귀중한 정보였다. 학계는 ‘동의보감’이 내보이고자 했던 인간의 정수가 이 그림에 나타나 있다고 설명한다. 실제로 앞의 설명을 보면 우주와 인간은 다르지 않은 존재다. 머리와 몸은 각각 하늘과 땅을 상징한다. 이 하늘과 땅을 연결하는 척추는 천지(天地)의 기운과 인체의 기운을 소통·순환시키고 있다.

 우리는 ‘동의보감’을 병든 사람을 살리는 방법을 기능적으로 알려주는 의서(醫書)로만 알고 있다. 실제로 이 책은 이 땅의 오래된 경험적 향약(鄕藥) 전통에 중국의 새로운 의학 지식을 포괄한 16세기 후반 조선 의학의 결정판이다. 그러면서 ‘동의보감’은 인체와 질병의 상관관계를 당대의 세계관인 성리학에서 말하는 인륜(人倫)의 정당성으로 새롭게 정립한 의철학(醫哲學)의 명저이기도 하다.

이미지 확대
국립중앙도서관 소장 ‘동의보감’의 시작 부분. 왕이 내린 책을 알리는 승지의 수결(手決·일종의 사인)이 보인다.
국립중앙도서관 소장 ‘동의보감’의 시작 부분. 왕이 내린 책을 알리는 승지의 수결(手決·일종의 사인)이 보인다.
 ‘동의보감’의 전편을 흐르는 가르침은 ‘인간은 자연을 닮은 소우주’라는 것이다. 그러니 자연을 닮은 인간은 자연의 원리를 따라야 하고, 그 원리를 거스른다면 인체의 균형도 깨질 수밖에 없다고 설명한다. 자연스러운 삶이 인간의 도리인 만큼 인륜을 지키는 것이 건강의 지름길이라는 것이다. 성리학의 가르침과 일맥상통한다. 태의(太醫) 허준이 대표로 편찬했지만 정작(鄭?)처럼 도교에 정통한 유의(儒醫)도 참여했기에 가능한 일이었다. 유의는 의학 지식에 학식을 겸비한 관료를 뜻한다.

 ‘동의보감’은 질병이 극에 달했지만 우리 실정에 맞는 의학서가 없었던 임진왜란의 와중에 편찬됐다. 선조는 편찬을 명하며 “궁벽 진 시골 마을에는 의술과 약이 없어 요절하는 사람이 많다. 토산 약품이 많이 생산되는데도 사람들이 알지 못하니, 약초를 이름까지 적어 쉽게 알 수 있도록 하라”고 했다. 이를 두고 훈민정음을 창제한 세종대왕의 애민 정신과 일맥상통한다고 보기도 한다.

이미지 확대
국립중앙도서관 소장 ‘동의보감’의 표지. ‘의감’(醫鑑)이라고 적혀있다.
국립중앙도서관 소장 ‘동의보감’의 표지. ‘의감’(醫鑑)이라고 적혀있다.
 ‘동의보감’이라는 이름은 조선 의학이 독립성을 가졌다는 자부심의 표현이다. 허준을 비롯한 편찬자들은 중국 의학을 북의(北醫)와 남의(南醫)로 나누고 우리 의학을 동의(東醫)라고 불렀다. 조선 의학이 독자적으로 발전했으며, 중국 의학과 어깨를 나란히 한다는 의식을 보여 준다. ‘동의보감’은 중국과 일본에서도 간행되어 동아시아 의학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동의보감’은 2009년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에 올랐다. 국립중앙도서관 소장본과 한국학중앙연구원 소장본, 서울대 규장각 소장본은 각각 국보다. 규장각 소장본은 두 종류로 하나는 24권 24책의 ‘태백산사고본’과 왕이 신하에게 책을 내리면서 내력을 적은 내사기(內賜記)가 빠진 17권 17책이다. 3권 3책만 남은 한독의약박물관 소장본은 충청북도 유형문화재이다.

 서동철 논설위원 dcsuh@seoul.co.kr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추계기구’ 의정 갈등 돌파구 될까
정부가 ‘의료인력 수급 추계기구’ 구성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정부는 이 기구 각 분과위원회 전문가 추천권 과반수를 의사단체 등에 줘 의료인의 목소리를 충분히 반영한다는 입장입니다. 반면 의사들은 2025학년도 의대 증원 원점 재검토 없이 기구 참여는 어렵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습니다. 이 추계기구 설립이 의정 갈등의 돌파구가 될 수 있을까요?
그렇다
아니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