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동철 기자의 문화유산이야기 33] 불상 없는 불전 적멸궁

[서동철 기자의 문화유산이야기 33] 불상 없는 불전 적멸궁

입력 2015-10-23 11:18
수정 2023-03-06 11:0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강원도 정선 사북에서 만항재를 넘어 영월 상동으로 가는 길은 별빛이 가장 아름다운 드라이브코스로 알려져 있다. 그도 그럴 것이, 해발 1330m의 만항재는 포장도로가 놓인 고갯길로는 우리나라에서 가장 높다고 한다. 고갯마루에 올라서면 1573m의 함백산과 1567m의 태백산이 손에 잡힐 듯 다가온다.

 정선카지노가 있는 사북에서 고한을 거쳐 414번 지방도에 접어든 뒤 만항재로 오르다 보면 왼쪽에 정암사가 나타난다. 그저 퇴락한 산골 암자처럼 소박한 모습이지만, 내력을 살피고 나면 별빛을 찾아나선 여행이 더욱 뜻깊어질 것이다.

이미지 확대
산 아래 지어진 적멸궁
산 아래 지어진 적멸궁
이미지 확대
불단(佛檀) 방향에는 창문을 내어 수마노탑 쪽으로 열려있음을 상장힌다
불단(佛檀) 방향에는 창문을 내어 수마노탑 쪽으로 열려있음을 상장힌다

 정암사에도 적멸궁(寂滅宮)이 있다. 흔히 통도사와 오대산 중대, 사자산 법흥사, 정암사를 4대 적멸보궁(寂滅寶宮)이라고 한다. 설악산 봉정암을 더하기도 한다. ‘보배 보(寶)’자로 이름부터 화려하게 장엄한 다른 적멸보궁과는 달리 정암사 적멸궁은 과장이 없다. 다른 적멸보궁과 마찬가지로 정암사 적멸궁도 불상이 없는 절집이다. 부처님 자리에는 연꽃을 수놓은 붉은 방석이 하나 놓였을 뿐이다.

이미지 확대
산 위에 세워진 태백 정암사 수마노탑
산 위에 세워진 태백 정암사 수마노탑
이미지 확대
적멸궁 쪽에서 올려다 본 수마노탑
적멸궁 쪽에서 올려다 본 수마노탑


 대신, 적멸궁 뒤로 돌계단이 놓여진 가파른 산길을 100m쯤 오르면 7층짜리 수마노탑(水瑪瑙塔)이 나타난다. 적멸궁은 수마노탑에 예배 드리는 공간이다.

 수마노란 붉은색, 검은색, 흰색이 곱게 어우러진 석영의 일종이라고 한다. 신라 자장법사(590∼658년)가 당나라에서 수도하고 645년 돌아올 때 용왕이 건넨 수마노로 탑을 지었다는 이야기가 정암사에 전한다. 하지만 지금의 탑은 고려시대에 수마노가 아닌 석회암을 벽돌처럼 다듬어 쌓아올린 이른바 모전석탑이다.

 정암사의 옛 이름은 석남원(石南院)이다. 자장은 석남원을 창건하면서 중국에서 가져온 진신사리를 수마노탑에 봉안했다고 한다. 진신사리란 부처님의 유골이다. 부처님을 모셨는데, 부처 모습을 흉내낸 불상을 적멸궁에 두는 것은 무의미하다.

 이런 형태의 적멸궁은 우리나라에서 창안되었다고 한다. 중국이나 일본에서는 찾아볼 수 없다는 것이다. 7세기 신라불교가 이미 외래 교리를 주체적으로 소화하여 새로운 상징체계를 만들어 낼 수 있었을 만큼 성장했다는 증거가 아닐 수 없다.

이미지 확대
수마노탑에서 내려다 본 정암사 전경
수마노탑에서 내려다 본 정암사 전경

 적멸(寂滅)은 번뇌의 불꽃을 지혜로 꺼서 일체의 고뇌가 소멸된 상태를 가리킨다. 부처가 깨달음을 이룬 보리수 아래는 그래서 적멸도량이 된다. 깨달음의 장소를 건축적으로 구현한 것이 적멸궁이다. 법왕(法王)이 머무는 곳이니 궁(宮)이다. 정암사 수마노탑과 적멸궁은 불교의 본질이 깨달음이라는 것을 웅변한다.

 글 서동철 수석논설위원 dcsuh@seoul.co.kr

☞ ’서동철 기자의 문화유산 이야기’ 시리즈 전체보기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출산'은 곧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가
모델 문가비가 배우 정우성의 혼외자를 낳은 사실이 알려지면서 사회에 많은 충격을 안겼는데요. 이 두 사람은 앞으로도 결혼계획이 없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출산’은 바로 ‘결혼’으로 이어져야한다는 공식에 대한 갑론을박도 온라인상에서 이어지고 있습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떠신가요?
‘출산’은 곧 ‘결혼’이며 가정이 구성되어야 한다.
‘출산’이 꼭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 것은 아니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