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동철 기자의 문화유산이야기 31] 소리나지 않는 마애종의 역설

[서동철 기자의 문화유산이야기 31] 소리나지 않는 마애종의 역설

입력 2015-10-19 09:53
수정 2023-04-24 15:5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안양 석수동 마종
안양 석수동 마종


 안양(安養)은 불자들이 다시 태어나기를 바라는 서방정토, 곧 극락의 다른 이름이다. 그러니 경기도 안양시 역시 극락이다. 안양이라는 땅이름은 안양사라는 절에서 따온 것이다. 안양은 불국토(佛國土)라는 자부심을 갖게 하는 존재를 하나 더 갖고 있다. 만안구 석수동에 있는 마애종(磨崖鐘)이다. 우리나라 전국을 통틀어 마애종은 이 것밖에 없다.

안양 석수동 마애종의 탁본
안양 석수동 마애종의 탁본


 얕게 돋을새김되어있는 조각은 다분히 회화적이다. 종을 거는 고리 구실을 하는 용뉴와 음통을 포함한 높이가 126㎝, 종 몸통의 높이가 101㎝이니 아담한 느낌이다. 작은 화면에 화강암 재료의 한계 때문인지 흔히 범종에서 보이는 화려한 장식은 보이지 않는다. 양쪽에는 기둥을 세우고, 보를 가로질러 종을 매달아 놓았고, 왼쪽에는 당목(撞木)을 잡고 있는 스님의 모습을 형상화해놓았다. 종을 치는 순간이라기 보다, 스님은 종을 치고 나서 가만히 그 소리에 귀기울이고 있는 듯 하다.

 종소리란 부처님이 가르친 절대적 진리를 상징한다. 범종을 만들고, 또 치는 것은 부처님의 진리를 널리 퍼져나가게 한다는 의미가 있다. 그러니 마애종에서는 일년 사시사철, 하루도 쉬지않고 진리의 말씀이 시방으로 퍼져나간다. 범종이 가진 상징성을 명확하게 이해하여 과감하게 발전시킨 뛰어난 아이디어의 산물이 바로 마애종이다.

 범종에서 울리는 소리를 흔히 법음(法音)이라고도 부른다. 부처의 진리가 불상의 입으로 전해지는 것이 아닌 것처럼, 범종도 쇠가 울리는 물리적인 소리로 중생이 번뇌를 끊을 수 있도록 제도하는 것은 아니다. 그러니 실제 울리는 범종과 소리가 날리 없는 마애종의 본질도 다르지 않다. 관악산 산허리를 감싸고 도는 바위에 새겨진 조촐한 조각이 그런 원리를 꿰뚫고 있으니 놀랍다.

이미지 확대
마애종의 보호각
마애종의 보호각



 안양 마애종은 고려시대 초기 조성된 것으로 학계는 추정한다. 통일신라시대 만들어진 상원사동종이나 성덕대왕신종과 가까워 보이는 양식이지만, 외곽선이 유려하지 못하고 전체적으로 단순한 것은 통일신라 범종을 모범으로 삼은 후대의 작품이라는 것이다. 하지만 단순히 고려시대 초기에 만들어진 범종을 모델로 삼은 조각장(匠)의 솜씨라면 더 후대로 내려올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다.

 마애종을 가만히 보면 좋을 치는 당목의 높이와 당목이 닿는 범종 당좌(撞座)의 높이가 서로 맞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조각장은 물론 조각을 의뢰하고, 감수의 역할까지 맡았던 사람 조차 종의 상징성에는 능통했지만, 종 자체에는 능통하지 않은 흔적이 보이고 있다.

이미지 확대
마애종의 조성주체 였을 가능성이 높은 안양사(중초사)터 당간지주
마애종의 조성주체 였을 가능성이 높은 안양사(중초사)터 당간지주



 마애종을 조성한 주체는 아마도 이웃한 안양사일 것이다. 과거에는 중초사로 불렸지만 2007년 발굴조사에서 한자로 ‘안양사’라고 새겨진 기와조각이 수습됐다. 그런데 절터에 남아있는 높이 3.73m의 당간지주에는 신라 흥덕왕 원년(826) 8월 6일 돌을 캐서 이듬해 2월 30일에 세웠다는 내용의 명문이 남아있다. 중초사가 어느 시절 안양사로 이름이 바뀌었을 가능성이 있다. 그런데 관악산을 조금 더 오르면 안양사라는 절이 또 하나 나타난다. 어떤 관계가 있는지는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서동철 수석논설위원 dcsuh@seoul.co.kr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추계기구’ 의정 갈등 돌파구 될까
정부가 ‘의료인력 수급 추계기구’ 구성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정부는 이 기구 각 분과위원회 전문가 추천권 과반수를 의사단체 등에 줘 의료인의 목소리를 충분히 반영한다는 입장입니다. 반면 의사들은 2025학년도 의대 증원 원점 재검토 없이 기구 참여는 어렵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습니다. 이 추계기구 설립이 의정 갈등의 돌파구가 될 수 있을까요?
그렇다
아니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