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8안전문화재단 전재영 사무국장
지하철 참사 하루 만에 물청소한 대구시유족들이 쓰레기 더미 뒤져 유골 찾아내
가해자가 참사 축소하고 잊게 하니 문제
가족 잃은 슬픔은 나혼자로 충분하지만
참사 수습 못한 정부, 사회가 기억해줘야
올해 2월 18일 대구 지하철 중앙로역에서 열린 대구 지하철 화재 참사 16주기 추모식에 참석한 전재영씨의 모습.
2·18 안전문화재단 제공
2·18 안전문화재단 제공
2003년 대구 지하철 화재 참사의 유족 전재영 2·18안전문화재단 사무국장은 5년 전 세월호 사고와 비슷한 일을 겪은 유족으로서 미안함을 느꼈다고 했다. 전씨는 사회적 참사를 함께 기억하되 앞으로 나아가야 한다고 믿고 있다. 대구 지하철 참사 4년이 지났을 때 용기를 내 지하철을 다시 타기 시작한 것도 그 때문이었다. 그의 메시지는 간명하다. 유족에게 유족다움을 강요하지 말 것, 그리고 사회적 참사 앞에서 정부가 끝내 해내지 못한 과제를 기억할 것.
전씨는 서울신문과의 인터뷰에서 “사회적 참사를 잊는다면 안전 사회는 요원하다”며 “사고의 원인과 수습 과정을 기억해야 잘못이 되풀이되지 않는다”고 강조했다. 전씨는 2003년 2월 18일 192명이 사망한 대구 지하철 화재 참사에서 아내와 7살 딸을 잃었다. 방화였지만, 관리 책임을 다하지 못한 정부도 가해자였다. 전씨는 “대형 참사 뒤엔 늘 정부나 지자체의 잘못이 있다”며 “세월호나 대구 지하철 화재 모두 가해자인 정부가 수습의 주체가 돼 자꾸만 참사를 축소하려 하고, 잊히게 하려고만 한다”고 말했다.
그래서 전씨는 세월호를 외면할 수 없었다. 세월호 사고 현장을 찾아 유족들에게 정부의 약속만 믿고 기다려서는 안 된다고 당부했다. 그는 “우리가 겪은 상황이 세월호 유족들에게 되풀이될 것 같아 안타까웠다”고 말했다. 전씨 역시 사고 이후 지자체가 ‘알아서 잘’ 수습해 줄 거라 믿었다. 그러나 대구시는 사고 발생 하루 만에 사고 현장(지하철 내부)을 물청소로 쓸어 버렸다. 전씨는 “애가 탄 유족들이 중앙로역부터 지하철길을 따라 직접 수색에 나섰다”며 “어떤 유족은 쓰레기 더미에서 찾은 뼈로 사망을 인정받기도 했다”고 회고했다. 전씨는 “가족을 잃은 슬픔을 주체할 수 없는데 원인까지 규명해야 하고 수습 방법도 생각해야 한다는 게 참으로 어이가 없고 힘들었다”고 말했다.
전씨는 며칠 전 세월호 유족과 함께 영화 ‘생일’을 관람했다. 그 자리에서 전씨는 “유가족도 웃고 싶을 때는 웃고, 울고 싶을 때는 울면 된다”고 했다. 그는 “유가족들이 트라우마에서 벗어나려면 외부에서 그들을 어떻게 바라보느냐가 매우 중요하다”고 말했다. “내 가족을 잃은 슬픔은 나 혼자도 충분합니다. 다만 대구 지하철 화재나 세월호 참사가 왜 일어났는지, 정부가 왜 제대로 수습하지 못했는지, 이것은 함께 기억해 줘야 합니다.”
이근아 기자 leegeunah@seoul.co.kr
2019-04-16 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